[글로벌 한국금융 해외서 길 찾아] 서병호 한국금융硏 연구위원 “장점인 CB 살리고 부족한 IB 보완해라”

[글로벌 한국금융 해외서 길 찾아] 서병호 한국금융硏 연구위원 “장점인 CB 살리고 부족한 IB 보완해라”

입력 2011-08-17 00:00
수정 2011-08-17 00: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서병호 한국금융硏 연구위원
서병호 한국금융硏 연구위원
“지금이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미국 신용등급 강등 여파로 전 세계 금융시장이 불안 국면에 들어섰지만, 국내 은행들에는 이번이 해외진출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서병호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강조했다. 그는 “국내 은행들이 상업은행 부문에서 경쟁력을 갖고 있고, 그 동안 해외은행 인수·합병(M&A)을 통한 해외진출을 꾸준히 검토해 왔다.”면서 “경제가 어려울 때 은행 지점망이 매물로 나온다면, 국내 은행의 해외진출에 큰 기회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 위원은 국내 은행의 해외진출과 관련, “신성장동력 확보 차원에서 해외진출은 점점 활발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국내 은행의 글로벌화는 어느 정도 진행됐나.

-국내 은행의 초국적화 지수는 지난해 말 3.6%이다. 초국적화 지수는 은행의 총자산과 이익, 인원 대비 해외지점의 비중을 백분율로 나타낸 지표다. 글로벌 은행의 경우 이 지수가 두 자릿수를 차지한다. 유럽계 은행의 초국적화 지수가 70~80%, 미국계는 40%, 일본과 호주계는 20% 후반 정도를 보인다. 국내 은행의 해외진출은 아직 걸음마 단계다.

→동남아 지역 등지에서 현지 은행을 인수하는 방안이 검토되는데, 실효성 있는 방안인가.

-해외진출 후발주자인 국내 은행이 현지인 대상 영업을 하기 위해서는 M&A가 필수적이다. 국내 은행들은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여러 차례 M&A 경험을 쌓아왔기 때문에 현지 사정에 대한 조사를 충분히 한다면 M&A를 하는 데 큰 문제가 없을 것이다. 단, 현지에 대한 지식이 없는 경영진이 의사결정을 주도하는 톱-다운 방식의 M&A는 실패할 가능성이 크다. 현지에서 실무를 담당하는 직원들이 M&A에 가장 적합한 은행을 발굴해 긴 시간을 놓고 검토해야 한다.

→국내 은행이 주목할 지역은 어느 쪽인가.

-장점인 상업은행(CB) 부문을 살리고, 부족한 투자은행(IB) 역량을 배운다면 바람직한 해외진출 모델이 될 것이다. CB 부문에서 우리는 정보통신 기술(IT)를 기반으로 하는 모바일과 인터넷뱅킹, 친절하고 효율적인 지점 마케팅, 신속한 지급결제와 의사결정 등을 강점으로 지니고 있다. 아직도 번호표를 뽑는 시스템을 갖추지 않고 창구마다 줄을 서게 하는 나라도 많다. 또 아시아는 문화적으로 친숙한 데다 한류 열풍으로 한국 이미지도 우호적이기 때문에 진출했을 때 성공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

2011-08-17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