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대 풍미한 ‘프랑스 국민가수’ 아르디 별세

1960년대 풍미한 ‘프랑스 국민가수’ 아르디 별세

최영권 기자
최영권 기자
입력 2024-06-13 04:40
수정 2024-06-13 04: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프랑수아즈 아르디. AFP 연합뉴스
프랑수아즈 아르디.
AFP 연합뉴스
독보적인 음악과 패션으로 1960년대를 풍미한 ‘프랑스 국민가수’ 프랑수아즈 아르디가 암 투병 끝에 11일(현지시간) 숨졌다. 80세.

그의 아들 토마스 뒤트롱은 이날 페이스북에 “엄마가 돌아가셨다”는 글과 함께 갓난아기였던 자신을 바라보는 엄마 사진을 올렸다. 그는 2004년 림프종과 후두암 진단을 받았다.

1944년 프랑스 파리에서 태어난 아르디는 열여섯 살 때 선물 받은 기타로 자작곡을 만들기 시작했다. 본격적으로 음악 레슨을 받고 여러 오디션을 본 끝에 1962년 보그사의 가수로 데뷔했다. 자작곡이자 데뷔곡 ‘모든 소년과 소녀들’은 250만장의 판매고를 올리며 영국 비틀스, 프랑스 세르주 갱스부르 등과 함께 유럽 팝 스타일인 ‘예예’(Y-Y) 시대를 이끌었다.

2023년 미국 음악지 롤링스톤은 ‘역대 가장 위대한 가수 순위’에 아르디를 162위로 선정했다. 순위에 이름을 올린 프랑스 가수는 그가 유일하다.

그는 ‘패션 아이콘’으로 당대 유럽의 패션을 선도했다. 그는 이브생로랑 디자이너였던 앙드레 쿠레주가 만든 미래지향적 흰색 튜닉 드레스와 파코 라반이 만든 15㎏이 넘는 ‘강철 드레스’를 입으며 화제를 모았다.

2018년 뉴욕타임스(NYT) 인터뷰에서는 “런던 거리를 걸으면 영화 캐스팅 제의가 들어오곤 했다”고 떠올렸다. 실제로 그는 영화 ‘그랑프리’(1966)로 데뷔해 배우로도 활동했다.
2024-06-13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