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설은 비교 대상이 없을 만큼 현실과의 접촉 면이 넓고도 뜨거운 민족문학의 대표적 사례였다. 이러한 현실과의 긴장, 혹은 접촉의 단면을 새롭게 확보하는 것이야말로 우리 시대 문학이 잊어서는 안 될 핵심요소다.’
2006년 문화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한 이경재 문학평론가(숭실대 교수)가 김사과, 황정은, 김영하, 김이설, 편혜영, 김애란 등 우리 시대 작가들이 어떻게 현실과 맞부딪히고 교감하고 있는지 조망하는 평론집을 펴냈다. 한국 문학이 영향력을 잃은 건 현실과 소통할 새로운 문법을 발견하지 못했다는 문제의식을 품고 소설과 세계 양쪽의 미래를 찾기 위해 고투한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7-07-15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