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김주영 그림 최석운
“그렇다면 그 많은 장물들은 모두 어디다 갈무리했더란 말이오?”“장물이 있었는지 없었는지 알 수 없으나, 때때로 저희들끼리 희희낙락하며 적지 않은 복물을 털었다고 야단들 하였습니다만, 복물을 산채로 가져오는 것은 보지 못했습니다.”
“그럼, 두령은 어땠소?”
“머지않아 이 산채를 하늘 아래 따로 없는 별천지로 만들겠다고 벼르곤 하였습니다.”
“그 별천지가 순식간에 상전벽해가 되어 버렸소. 석쇠 짚신에 구슬 달기지 그놈 또 어디 가서 감언이설로 별천지 타령하고 다닐까.”

월이는 너덜너덜해진 저고리 끝동으로 눈가에 번진 눈물을 훔쳤다. 듣고 보니 말씨는 차분하고 공손하였다. 산기슭 어디선가 사람의 울음소리와 흡사한 승냥이 울음소리가 들려왔다. 정한조는 몇 걸음 비켜 앉아 졸고 있는 곽개천을 가만히 불렀다.
“저놈들을 닦달해 보았나?”
“임시처변으로 둘러대면 물고를 내서 육포를 뜨겠다고 강다짐을 했습니다만, 놈들이 인질로 잡아간 동무의 행방을 알고 있는 놈은 없었습니다. 여러 놈이 한 잎에서 난 듯 똑같은 말로 그런 사람을 본 적이 없답니다.”
“그럼, 우리 상단의 목숨을 요절낸 놈은?”
“역시 없답니다.”
“그렇다면, 내성 색주가에서 잡은 놈들이나 말래 도방에 잡아 둔 놈들 중에 끼어 있을 테지. 도둑들의 두령을 잡지 못했으나 우리 동무를 살해한 궐놈만은 여축없이 찾아내어 필경 분풀이를 해주어야 하네. 그러지 않고는 행중에서 헛고생만 사서 했다는 원성이 자자할 것이야.”
곽개천은 천봉삼을 턱짓으로 가리키며 나직하게 물었다.
“저놈은 어떻게 할까요?”
“결박을 했으면 내성 임소까지는 끌고 가야지. 인질로 잡혀 있었다지만, 그동안 궐자가 저지른 죄업도 없지 않았을 것이니, 계집의 말만 곧이듣고 덜컥 놓아 주었다가 후환이 생기면 그때는 누가 감당하겠는가.”
일행은 발행하여 곧은재 독자골 지나고 맷재 넘어 현동장에서 하룻밤을 하처 잡았다. 갈숲이 흔천으로 깔린 씨라리골을 지나 설피재와 검은돌마을 지나 내성장에 당도한 것은 그날 해 질 무렵이었다. 임소에서는 저들의 산채를 접수했다는 소식을 들었던 권재만과 낯익은 공원들이 기다리고 있었다. 먼저 장문을 내린 것은 소굴에서 잡아 온 산적들이 아니었다. 임소 앞마당에 장문을 세우고 결박한 윤기호를 잡아 꿇리었다. 보부상들이 임소에서 장문을 세우면 어느 누구도 장문 안으로 범접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담 너머에서 훔쳐보는 것조차 용납되지 못할 만큼 혼금(?禁)이 엄중했다. 장문법이란 지난날 보부청에서 전래되어 온 사형 풍속이었으나 세월이 흐르면서 당연한 것처럼 굳어진 형벌이 되어 버렸다. 그래서 설령 지방의 수령이나 호령하는 양반이라 할지라도 보부상들이 벌이는 장문 형벌에 감 놓아라 대추 놓아라 간섭하지 못했다. 장문 아래 멍석을 깔고 홀딱 벗긴 사람을 눕힌 다음 물 먹인 멍석으로 둘둘 말아 그 위에다 몽둥이찜질을 내리는 이 형벌은, 속에 누워 있는 당사자가 누가 자기에게 몽둥이질하는지 알 수 없었다. 그 때문에 무릿매를 내리는 사람은 나중에 보복당할 걱정이 없었다. 당장은 뼈가 부러지는 듯한 치명상을 입지는 않으나, 멍석말이를 당하고 난 뒤부터 그 목숨이 다할 때까지 골병이 들어 평생 동안 굴신을 못 하고 포병객으로 누워 지내야 한다.
2013-07-09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