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환 국립무형유산원장
“무형문화재는 그동안 원형을 유지하며 맥이 끊기지 않도록 하는 전승이 핵심이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보존·관리·활용과 관련한 정책적인 고려가 부족했던 게 사실입니다. 1962년 문화재보호법 제정 이후 시행된 무형유산 제도가 50년이 넘었습니다. 이젠 무형유산을 새로운 관점에서 접근, 종합적으로 조명할 때가 됐습니다.”
강경환 국립무형유산원장
강 원장의 보존·활용 첫걸음은 작고한 인간문화재들의 유품 수집이다. 조각장 김철주 명예보유자, 승무·살품이춤 이매방 명예보유자, 태평무 강선영 명예보유자 등 3명의 유품 수집을 시작으로 인간문화재 자료 보존·보관 체계화에 나섰다.
“예전엔 인간문화재들의 유품 일부만 가져왔습니다. 조사나 연구, 자료집 발간이 제대로 될 리 없었죠. 인간문화재 유품 전체를 기증받은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유품을 가져와 수장고에 쌓아 두려는 게 아닙니다. 체계적으로 보존·관리하고, 전시나 자료집 발간을 통해 그 가치와 의미를 널리 알리려 합니다.”
수장고도 증축할 계획이다. “처음엔 인간문화재들의 시청각자료 같은 걸 보관한다면 수장고 규모가 그렇게 크지 않아도 되겠다고 여겼는데, 세 분의 유품 수량을 보니 어마어마하더군요. 현 수장고론 인간문화재들의 자료를 모두 보존하기에 부족합니다. 무형유산원 양쪽 부지 매입이 완료되면 그곳에 별도로 수장고를 만들려 합니다.”
무형문화재는 개인과 단체 종목으로 나눠져 있다. 단체 종목은 사무조직이 있어 작고한 보유자들의 유품이 그나마 관리되고 있지만 개인 종목은 관리 사각지대에 있다. “인간문화재가 돌아가시면 유족들은 유품을 장남이나 제자에게 줬습니다. 제대로 관리가 안 되고 있죠. 저희 직원들이 이매방 명예보유자 등 유족들을 찾아가 유품 수집 취지를 말씀드렸더니 흔쾌히 기증하겠다고 하시더군요.”
무형유산원은 2014년 10월 인간문화재를 예우하고 무형유산 전승자들의 공간을 만들자는 취지로 설립됐다. 인간문화재 유품을 제대로 보존하고 전시, 활용하는 건 무형유산원의 가장 기본적인 책임이다. “인간문화재들의 자료를 수집해 알리지 않으면 머잖아 그 의미가 사라집니다. 무형유산원 핵심 사업인 ‘명예의 전당’이 필요한 이유죠. 인간문화재의 가치를 국민들에게 알리고 국민들이 직접 접할 공간이 필요합니다. 무형유산 전승자들의 자긍심을 고취해야 무형유산 가치도 영원히 전승될 수 있습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6-07-09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