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회’의 영문표기는 ‘Beef Tartare’... 한식 표준번역 확정

‘육회’의 영문표기는 ‘Beef Tartare’... 한식 표준번역 확정

입력 2014-05-14 00:00
수정 2014-05-14 09: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음식점에 가면 영어를 비롯한 외국어로 메뉴를 표기한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문제는 엉터리 번역이 많다는 점이다. 어느 음식점 메뉴판에는 ‘육회’가 ‘six times’(여섯 번)로 옮겨져 있다고 한다.

국립국어원은 지난해 문화체육관광부와 농림수산식품부가 맺은 업무협정에 따라 영어·중국어·일본어 번역 전문가와 각 언어 원어민의 의견을 수렴, 주요 한식 200가지의 3개국어 표준 번역안을 확정했다고 14일 밝혔다.

상차림, 밥, 죽, 면, 국·탕, 찌개, 전골, 찜, 조림, 볶음, 구이, 전·튀김, 회, 김치, 장·장아찌, 젓갈, 기타 반찬, 떡, 한과, 음청류 등 20개 범주로 나눠 외국인이 한국에서 일반적으로 접할 수 있는 음식을 대부분 망라했다.

표준안은 명칭을 최대한 해당 언어로 옮기되, 관용적으로 발음 자체를 외국어로 표기해 온 음식은 원음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을 표준으로 삼았다. 특히 일본어로는 ‘잡채’ ‘삼겹살’ 등 한국어 명칭을 알리고자 하는 음식은 원음 그대로 표기했다. 예를 들어 가장 흔한 한국 음식인 김밥은 로마자 표기와 영어 번역 모두 ‘Gimbap’으로 하고 중국어로는 뜻을 옮긴 ‘紫菜卷飯’(즈차이주안판), 일본어로는 원음을 따른 ‘キンパプ’(긴파푸)로 표기했다.

외국인에게 인기가 높은 비빔밥 역시 로마자 표기와 영어 번역을 ‘Bibimbap’, 일본어 번역도 ‘ビビンバ’(비빈바)로 하고 중국어 번역만 ‘비빈 밥’이라는 뜻의 ‘拌飯’(반판)으로 했다. 육회는 영어로는 ‘생쇠고기’라는 뜻의 ‘Beef Tartare’ 중국어는 ‘生拌牛肉’(성반니우러우), 일본어는 ‘ユッケ’(윳케)로 옮겼다.

다만 한국 대표 음식인 김치의 중국명은 애초 검토한 ‘泡菜’(파오차이)가 절임음식을 뜻해 발효음식인 김치와는 다르고, 농림부에서 상표명으로 개발한 ‘辛奇’(신치)는 아직 중국 내 파급력이 검증되지 않아 일단 보류하기로 했다.

국어원은 국내외 한식당 관련 자료를 보유한 한식재단 측에 확정안을 전달하고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활용되도록 협조를 요청했다. 국어원 관계자는 “로마자 표기법에 근거해 음식 이름을 써 오다 보니 잘 지켜지지 않고 식당에 따라 터무니없는 번역을 해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에서 웃음거리가 되기도 했다”며 “표준화한 번역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