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등 위해 즐겁게 투쟁하는 이슬람 여성들

평등 위해 즐겁게 투쟁하는 이슬람 여성들

입력 2013-04-25 00:00
수정 2013-04-25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EBS 26일밤 금요극장 ‘소스’

북아프리카의 외진 시골 마을. 보수적인 이슬람 사회에서 레일라는 눈에 띄는 존재다. 열네 살이면 무조건 얼굴도 모르는 남자에게 시집을 가야 하는 이곳 여자들과 달리 그녀는 교사인 남편 새미와 연애결혼을 했다. 글을 읽고 쓸 줄도 안다. 레일라는 산비탈의 샘물에서 물을 길어 오다 수없이 유산하는 마을 여자들을 독려해 ‘파업’을 일으킨다. 남자들이 수도를 놓아 줄 때까지 잠자리를 거부하자는 것. 파업 초기에는 반응을 안 하던 마을 남자들이 점점 폭력적으로 변해 가고 레일라에게 압박을 가해 온다.

레일라 역의 레일라 벡티는 ‘빛나는 모든 것’으로 2011년 세자르영화제 신인 여배우상을 받았다. 알제리계 프랑스인으로 2011년에는 세계적인 화장품 브랜드인 로레알의 모델로 발탁됐다. EBS 제공
레일라 역의 레일라 벡티는 ‘빛나는 모든 것’으로 2011년 세자르영화제 신인 여배우상을 받았다. 알제리계 프랑스인으로 2011년에는 세계적인 화장품 브랜드인 로레알의 모델로 발탁됐다.
EBS 제공
EBS에서 26일 밤 11시 15분 방송되는 ‘소스’는 이슬람 영화, 여성 영화, 코미디 영화 등등 관점에 따라 여러 방식의 접근이 가능하다. 라두 미하일레아누 감독은 시작부터 이슬람 사회의 모순과 열악한 일상을 보여 준다. 현실을 고쳐야 한다는 요구는 묵살되고 잠자리 거부라는 카드를 꺼내 든 여성들에게 폭력이 가해진다. 더는 동화로 볼 수 없겠다고 생각할 때쯤 감독은 다소 김빠지지만 코믹한 상황으로 갈등을 해소시킨다.

‘소스’는 이슬람 여성이 주인공이다. 종교적 근본 원리에 따라 불평등한 삶을 인내하고 살아가는 여성의 슬픈 드라마라는 섣부른 편견은 걷어도 좋다. 모로코 전통 춤과 노래, 연희를 선보이며 남녀평등을 위해 투쟁하는 용감하고 아름다운 여성들이 있다. 노년에서 10대까지 베일 아래 얼굴을 가렸지만, 개성으로 채색된 여성들이 각자의 사연을 풀어 놓거나 한데 모여 춤추는 장면은 영화에서 눈을 떼지 못하게 한다.

루마니아 태생의 감독은 1980년 차우셰스쿠 독재 정권의 폭압을 피해 프랑스로 이주했다. 스탈린 체제하에서 루마니아 반체제 시인의 역경을 다룬 ‘밀고’, 나치의 유대인 학살을 독특한 관점으로 풀어 나간 ‘트레인 오브 라이프’, 2006년 세자르영화제 최우수 각본상을 받은 ‘리브 앤 비컴’ 등을 찍었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2013-04-25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