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흐의 무반주(바이올린 소나타)를 하는 건 평생 원하던 꿈을 이루는 것과 같다. 평생 가장 행복한 순간을 꼽으라면 바로 요즘이다. 별 다섯 개 만점 중에 다섯개 정도로 행복하다.”
이미지 확대
정경화는 ‘지휘자 탓도, 피아니스트 탓도 못 할’ 바흐의 무반주 소나타 공연에 큰 기대감을 나타냈다. CMI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정경화는 ‘지휘자 탓도, 피아니스트 탓도 못 할’ 바흐의 무반주 소나타 공연에 큰 기대감을 나타냈다. CMI 제공
16일 서울 신문로 서울역사박물관에 마련된 기자회견장에 나타난 바이올리니스트 정경화(64·줄리아드 음악원 교수)는 상기된 표정이었다. 내내 웃음이 떠나질 않았다. 5월 말과 6월 초에 걸쳐 바이올린 음악의 경전과도 같은 바흐의 무반주 바이올린 소나타(느린 악장과 빠른 악장이 교대로 이뤄진 4악장 형식)와 파르티타(알르망드, 사라방드, 지그 등 춤곡이 배치된 음악) 전곡의 연주는 정 교수에겐 그만큼 흥분되는 사건이다.
●“평생 원하던 꿈 이루는 것 같아”
19세가 되던 1967년, 정경화는 미국 카네기홀에서 열린 리벤트리트 콩쿠르에서 핑커스 주커만과 공동우승을 하면서 단박에 톱클래스 연주자로 주목 받았다. 이후 명 지휘자들이 이끄는 오케스트라, 세기의 피아니스트들과의 숱한 협연은 물론 EMI·RCA·DECA·도이치그라모폰 등 유수 음반사와 30장의 레코딩을 발표했다. 하지만 거장의 디스코그래피에 바흐의 무반주 소나타와 파르티타전곡, 모차르트와 베토벤 소나타는 빠져 있다. 때가 무르익기를 기다려 왔다는 얘기다.
정 교수는 “작곡가의 뜻을 해석하는 일이란 게 늘 힘들었는데 지금 바흐의 무반주 곡들을 준비하는 과정은 하나도 힘들지 않다. 하루 25시간이라도 연습할 수 있을 것 같다.”면서 “50년 전 처음 바흐의 곡을 연습할 때는 타고난 재능으로 손가락이 쫓아갔다면, 지금은 (작곡가의 의도를 충분히 이해하고) 귀가 열린 상태에서 손가락이 움직이기 때문에 전에 했던 레코딩과는 전혀 다를 것”이라고 설명했다.
●“명동성당 음향 마음에 꼭 들어”
공연은 1898년 지어진 고딕양식의 서울 명동성당에서 열린다. 정 교수는 “현대 악기로서 바이올린을 무반주로 공연한다는 건 무리인데, 성당 특유의 울림이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라면서 “서너 곳에서 테스트를 했는데 음향이 마음에 안 들었다. 그런데 명동성당은 측면에서는 소리가 퍼져나가지만 가운데 섹션의 소리가 너무 좋았다.”고 설명했다.
정 교수가 애용하는 명기(名器) 과르네리 델 제수의 부드러운 음색과 풍부한 잔향을 품은 명동성당의 공간이 바흐와 어떤 궁합을 이룰지 기대된다. 5월 15일에는 소나타 1번, 파르티타 1번, 소나타 2번을 연주한다. 일주일 뒤 22일에는 파르티타 3번, 소나타 3번, 파르티타 2번을, 31일과 6월 4일에는 같은 프로그램을 반복한다. 매회 300명만이 ‘바이올린 여제’를 만날 수 있다. 7만~10만원. (02)518-7343.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2012-04-17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