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제출한 대북 제재 결의안 2270호 이행보고서에서 한반도의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반대한다고 명시했다.
21일(현지시간) 유엔 안보리가 웹사이트를 통해 공개한 이행보고서는 6페이지, 6개 항목 분량으로 2개 항목을 한반도 평화와 안정에 관해 할애했다.
보고서는 “중국은 지속적으로 한반도 비핵화를 비롯해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수호하고, 대화와 협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것을 촉구해 왔다”면서 “제재는 목표가 될 수 없고, 안보리 결의 역시 근본적으로 한반도 핵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반도의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전환할 것을 촉구하며 한반도 긴장을 악화시키는 행동을 삼가야 한다”며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의 한반도 배치를 반대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중국은 안보리 결의안 제재를 이행하기 위해 탄도미사일은 물론 소형무기까지 포함한 무기류의 북한 수출을 막았으며, 군사훈련과 자문도 금지했다고 주장했다. 또 석탄, 철광석, 금 등 북한 광물의 수입도 막고 있다면서도 북한 인민의 생계와 관련됐거나 북한 이외 지역에서 생산돼 나진항을 통해 수출되는 광물은 예외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한·미 양국이 사드의 한반도 배치를 발표하기 18일 전인 지난달 20일 안보리에 제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1일(현지시간) 유엔 안보리가 웹사이트를 통해 공개한 이행보고서는 6페이지, 6개 항목 분량으로 2개 항목을 한반도 평화와 안정에 관해 할애했다.
보고서는 “중국은 지속적으로 한반도 비핵화를 비롯해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수호하고, 대화와 협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것을 촉구해 왔다”면서 “제재는 목표가 될 수 없고, 안보리 결의 역시 근본적으로 한반도 핵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반도의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전환할 것을 촉구하며 한반도 긴장을 악화시키는 행동을 삼가야 한다”며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의 한반도 배치를 반대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중국은 안보리 결의안 제재를 이행하기 위해 탄도미사일은 물론 소형무기까지 포함한 무기류의 북한 수출을 막았으며, 군사훈련과 자문도 금지했다고 주장했다. 또 석탄, 철광석, 금 등 북한 광물의 수입도 막고 있다면서도 북한 인민의 생계와 관련됐거나 북한 이외 지역에서 생산돼 나진항을 통해 수출되는 광물은 예외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한·미 양국이 사드의 한반도 배치를 발표하기 18일 전인 지난달 20일 안보리에 제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16-07-23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