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프로스 방문한 中 왕이 외교부장 유럽 길목인 리마솔港 운영권 거의 따내
중국이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의 거점 항구 사용권을 잇따라 손에 넣으며 해양굴기(?起)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리마솔은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활동의 근거지인 아크로티리 영국 공군기지와 경계가 맞닿아 있는 곳으로 나토 전자감시 체제의 구심점 역할을 하는 항구이다. 중국이 지중해 해운의 길목을 차지하는 것은 물론 서방과 맞설 군사적 거점도 확보하는 셈이다. 키프로스는 지난 2월 러시아에도 해군 및 공군 기지 사용을 허락해 러시아 해군이 흑해를 벗어나 지중해로 진출할 수 있는 길을 터줬다. 올해 여름 중국 해군과 러시아 해군은 이 해역에서 공동 군사훈련을 실시했다.
중국의 지중해 진출은 남중국해~인도양~아프리카의 바닷길을 잇는 ‘진주 목걸이’ 전략을 지중해까지 확대하려는 포석으로 보인다. 특히 중국이 한국의 거제도 내 항만 시설의 장기 임대를 추진했던 것으로 알려지면서 ‘진주 목걸이’의 범위가 동쪽 한반도에서 서쪽 유럽까지 확장되는 것 아니냐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한편, 중국은 지난달에만 지부티(아프리카), 파키스탄 과다르(인도양), 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태평양) 등 거점 항구 세 곳의 사용권을 손에 넣었다. 중국의 첫 아프리카 군사 기지가 된 지부티는 유럽~아시아를 연결하는 수에즈 운하의 남쪽에 있는 전략적 요충지다. 지부티 앞바다는 소말리아 해적이 출몰하는 아덴만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미국·프랑스·일본 등이 군 기지를 운영하고 있다.
인도양 거점인 과다르항은 중국이 16억 2000만 달러를 들여 43년 운영권을 거머쥐었다. 중국이 도입하는 원유의 80%가 이 항구를 거친다. 중국은 과다르항과 중국 북서부 신장(新疆)을 송유관으로 연결하려고 하고 있다. 코타키나발루는 인도양에서 남중국해로 도착하는 길목인데, 중국이 자국 군함의 중간 기착지로 승인받았다. 남중국해에서 미국을 견제하는 교두보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또 지난 6월 이스라엘 최대 항구인 하이포를 2020년까지 개발해 이후 25년 동안 운영하는 권리를 얻었으며, 독일 함부르크 항구 건설에도 참여하고 있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5-12-23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