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위를 강력하게 통제하는 중국에서 환경을 해치는 개발이나 오염시설 건립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잇따라 벌어지고 있다. 환경 파괴에 항의하는 주민 시위가 일반화되고 있는 양상이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광둥(廣東)성 후이저우(惠州)시 보뤄(博羅)현에서 지난 13일 1만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당국의 쓰레기 소각장 건립 계획에 반대하는 시위가 벌어졌다고 홍콩 명보가 14일 보도했다. 당국은 당초 내년 초 가동을 목표로 보뤄현 주민 거주지에서 1㎞ 떨어진 곳이자 홍콩의 식수원인 둥장(東江) 인근에 2600t급의 쓰레기 소각장을 건립하려 했다.
시민들은 전날 오전 9시부터 3시간 동안 도심인 보뤄 문화광장에서 현수막과 피켓을 들고 거리 행진을 벌였다. 시위대에는 어린이와 할머니도 포함돼 있었다고 신문은 전했다. 2000여명의 무장경찰이 정부청사로 향하던 시위대의 행진을 막는 과정에서 충돌이 발생했으며 시민 10여명이 연행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보뤄현 측은 시위 직후 “주민 의견을 수렴한 뒤 입지를 다시 선정하겠다”며 쓰레기 소각장 건립 계획을 당분간 유보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5월 저장(浙江)성 항저우(杭州)시 위항(余杭)구에서도 아시아 최대 규모의 쓰레기 소각 발전소 건립 계획이 주민 시위로 보류됐으며, 지난 1월 광둥(廣東)성 산터우(汕頭)에서도 주민 1만여명이 쓰레기 소각 발전소 건설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여 당국이 사업 추진 여부를 재검토하기로 한 바 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2014-09-15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