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8월 재집권한 탈레반은 아프간 여성들에게 ‘악몽’이 됐다. 탈레반은 여성의 교육과 노동, 장거리 여행을 금지하는 등 억압적인 규율을 새로 만들어 통제하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 중·고등학교 여학생들의 교육이 금지됐고, 얼굴을 덮은 부르카를 착용하지 않으면 외출할 수 없다. 여성의 경우 차 안에서 음악을 들을 수 없다는 규율도 생겼다.
여성 인권 운동가인 나비다 쿠라사니는 “우리는 침묵하지 않을 것이다. 아프간 여성들은 20년 전과 다르다”며 “우리의 목소리를 내기 위해 가능한 모든 수단을 사용할 것”이라고 했다.
톨로 뉴스는 밤마다 벽에 구호를 쓰는 것 뿐 아니라 가정에서 남성복을 착용하는 것도 아프간 여성들의 새로운 시위법이 되고 있다고 전했다.
탈레반은 과거 통치기(1996∼2001년)에는 샤리아(이슬람 율법)를 앞세워 엄격하게 사회와 여성을 통제했다. 당시 음악,TV 등 오락이 전면 금지됐고 불륜을 저지른 여성을 돌로 쳐 죽게 하는 공개 처형도 허용됐다.
안동환 전문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