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위한 한 시간’…25일 韓남산·英빅벤·佛에펠탑 불꺼진다

‘지구 위한 한 시간’…25일 韓남산·英빅벤·佛에펠탑 불꺼진다

입력 2017-03-24 16:51
수정 2017-03-24 16: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세계 각지 랜드마크 ‘지구촌 전등 끄기’ 행사 참여

불타는 토요일 밤, 서울을 비롯한 전 세계 각지 랜드마크에 어둠이 깔릴 예정이다.

24일 세계자연기금(WWF)은 다음날 밤 8시 30분 전 세계 170여개 국에서 1시간 동안 소등이 이어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는 2007년 호주 시드니에서 환경 문제를 한 번 더 생각해 보자는 취지로 시작된 ‘지구촌 전등끄기(Earth Hour)’ 캠페인이다.

올해 10주년을 맞는 이 캠페인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사람이 참여하는 환경 운동 중 하나로 성장했다.

지난해에도 전 세계 178개국 1만2천700여개 랜드마크에서 불이 꺼졌다.

올해 한국에서는 서울 남산타워, 흥인지문, 숭례문, 서울시청, KT 광화문 사옥을 비롯해 부산의 부산타워, 영화의 전당, 부산시청, 부산항대교 등이 참여한다. 전주 전동성당, 수원화성도 소등된다.

해외에서는 영국 빅벤과 국회의사당, 터키 블루 모스크, 아랍에미리트(UAE) 부르즈 칼리파, 이탈리아 콜로세움, 프랑스 에펠탑, 미국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스페인 그라나다 알함브라 궁전, 이집트 피라미드, 호주 오페라 하우스, 일본 도쿄타워, 홍콩 빅토리아 하버 등이 이름을 올렸다.

조명은 각국 현지시간에 맞춰 꺼질 예정이다.

이 캠페인을 담당하는 WWF의 시다스 다스 국장은 “지난 10년 동안 이 행사를 통해 러시아와 아르헨티나 바다를 보호하는데 일조했고, 동남아시아와 아마존에서 운영하는 보전 프로젝트 기금을 모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리 모두의 열정으로 하나뿐인 지구를 보호할 수 있는 기반을 세웠다”고 강조했다.

각 개인도 집에서 스위치를 내리거나 온라인 서약 등을 통해 동참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공식 사이트(earthhourkorea.org)나 페이스북(www.facebook.com/earthhou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김경 문화체육관광위원장(더불어민주당, 강서1)은 4일 정책간담회를 개최한 후 주민소환제도가 도입 취지와 달리 사실상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시민의 직접 민주주의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을 강력히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2007년 도입된 주민소환제도는 선출직 공무원의 책임성을 높이는 중요한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18년간 전국적으로 투표까지 진행된 사례가 11건에 불과하며, 해임이 확정된 경우는 단 1건에 그쳤다”고 밝혔다. 특히 서울시는 2019년 은평구의회 의원 소환 청구 외에는 소환 투표로 이어진 사례가 전무하여 제도의 실효성이 매우 낮다고 강조했다. 주민소환제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주요 원인으로는 복잡한 절차, 과도한 서명 요건, 부족한 정보 접근성, 그리고 불투명한 행정 처리가 꼽힌다. 청구서 제출부터 서명부 발급, 현장 서명 과정의 번거로움은 시민 참여를 저해하며, 개인정보가 포함된 서명부 지참이나 서식 작성 오류 시 서명 무효 처리 등은 불필요한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장의 경우 유권자의 10%인 약 82만 5000명의 서명과 더불어 서울시 25개 구 중 9개 구 이상에서 각 구의 10% 이상을 확보해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