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FP 연합뉴스
잿더미 된 알레포… 생존자 찾아나선 정부군
알레포 함다니예 지역에서 시리아 정부군과 주민들이 반군 포격으로 무너진 건물주변 생존자를 찾기 위해 모여들고 있다.
AFP 연합뉴스
AFP 연합뉴스
정부군이 승기를 잡고 반군과 휴전에 합의했지만, 휴전 합의를 되살리려는 노력에 혼란이 이어지고 있다.
AP·AFP 등 외신은 시리아 정부군과 반군 측이 파행 책임을 서로 전가하고 있으며 휴전 재이행에서도 파열음을 내고 있다고 전하고 있다.
앞서 러시아와 터키의 중재로 14일 오전 5시에 발효한 휴전 합의에서 알레포 반군은 항전을 중단하고 이들리브 등 남아있는 반군 근거지로 이동하기로 했다. 그러나 시리아의 주요 지원국인 이란이 새 조건을 달아 이의를 제기하면서 반군과 주민의 철수가 지연된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에 본부를 둔 시리아 내전 감시단체 시리아인권관측소(SOHR)와 알레포의 활동가들에 따르면 반군과 주민이 철수를 기다리던 중 반군 밀집지역에 로켓포가 떨어졌고 항공기를 동원한 공습도 재개됐다. 반면 시리아 현지 러시아 분쟁 중재센터는 반군이 먼저 피난 행렬에 총격을 가해 정부군 포위망을 뚫으려 시도하자 정부군이 반격에 나섰다고 주장했다.
현재로선 알레포 주민과 반군의 철수가 언제 시작될지 확실한 조짐이 나타나지 않고 있지만, 반군 측 TV 방송은 철수가 15일까지 지연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이런 가운데 BBC, CNN, 폭스뉴스 등 언론은 정부군과 반군 간 휴전이 “수 시간 내” 이행에 들어갈 것으로 전하고 있다.
하지만 시리아 정부나 정부군을 지원하는 러시아 측에서는 이를 확인하지 않고 있다. 시리아 정부군을 지원하는 레바논 무장정파 헤즈볼라도 협상에 ‘큰 문제’가 있다며 아직 결론을 내지 못했다고 밝혔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