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키, 군인 1400명 해고·군사학교 폐교…대통령제 개헌 시사

터키, 군인 1400명 해고·군사학교 폐교…대통령제 개헌 시사

박성국 기자
박성국 기자
입력 2016-08-01 00:07
수정 2016-08-01 00: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터키 ‘에르도안 술탄시대’ 돌입
터키 ‘에르도안 술탄시대’ 돌입 터키 의회는 지난 21일 에르도안 대통령이 전날 선포한 국가비상사태를 346대 115의 찬성으로 승인했다. 터키 정부는 이날 국가비상사태가 유지되는 동안 유럽인권협약(ECHR)을 유예하기로 하고 이를 유럽평의회에 통보했다. 사진은 22일 앙카라의 대통령궁에서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가운데)이 기자회견 중 연설하는 모습. AFP 연합뉴스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의 터키 정부가 군부 쿠데타 배후세력 척결 일환으로 1400명에 가까운 군인들을 해고하고 모든 군사학교를 폐교한 것으로 나타났다. 에르도안 대통령은 또 군과 정보기관을 대통령 직속으로 하는 내용의 헌법개정을 시사했다. 이는 사실상 의원내각제를 대통령제로 바꾸려는 개헌 시도로 보인다.

터키 일간 휴리예트는 31일(현지시간) 발행된 관보를 인용해 국가 비상사태 선포에 따라 지난 15일 쿠데타 시도 실패에 연루된 군인 1389명이 해고됐다고 보도했다. 또 터키 내 모든 군사학교가 문을 닫았다. 터키 정부 계획에 따라 폐교 조치된 군사학교에는 전쟁대학, 군사 고등학교, NCO 고교 등이 포함됐다. 군의과대학과 전국의 모든 군사 병원은 보건부로 예속됐다.

이번 조치는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이 군사 훈련소 폐쇄를 포함해 군에 대한 여러 변화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힌 지 얼마 지나지 않아 나온 것이다.

에르도안 대통령은 대통령 중심제의 개헌 의지도 드러냈다. 그는 전날 A-하베르 TV와의 인터뷰에서 “작은 규모의 개헌을 하려고 한다”며 “개헌이 이뤄지면 터키 국가정보청(MIT)과 군 참모총장이 대통령의 지휘를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터키는 의원내각제 국가로 현재 터키군과 MIT는 대통령이 아닌 총리의 지휘를 따르고 있다.

터키 정부가 개헌을 이루려면 의회 전체 의석 550석 가운데 3분의 2인 367석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집권 정의개발당(AKP)은 317석을 보유하고 있다.

한편 에르도안 대통령은 지금까지 1만 8699명이 쿠데타 연루 혐의로 구속됐다고 밝혔다. 터키 정부는 전날 이스탄불의 한 법원의 권고에 따라 쿠데타 연루혐의로 가뒀던 군인 989명 중 758명을 풀어줬다. 이 법원 판사는 군인 일부에 대한 구금은 불필요하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231명은 이번 석방에서 제외됐다. 쿠데타 가담 여부를 가려 분류한 것으로 보인다.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김경 문화체육관광위원장(더불어민주당, 강서1)은 4일 정책간담회를 개최한 후 주민소환제도가 도입 취지와 달리 사실상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시민의 직접 민주주의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을 강력히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2007년 도입된 주민소환제도는 선출직 공무원의 책임성을 높이는 중요한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18년간 전국적으로 투표까지 진행된 사례가 11건에 불과하며, 해임이 확정된 경우는 단 1건에 그쳤다”고 밝혔다. 특히 서울시는 2019년 은평구의회 의원 소환 청구 외에는 소환 투표로 이어진 사례가 전무하여 제도의 실효성이 매우 낮다고 강조했다. 주민소환제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주요 원인으로는 복잡한 절차, 과도한 서명 요건, 부족한 정보 접근성, 그리고 불투명한 행정 처리가 꼽힌다. 청구서 제출부터 서명부 발급, 현장 서명 과정의 번거로움은 시민 참여를 저해하며, 개인정보가 포함된 서명부 지참이나 서식 작성 오류 시 서명 무효 처리 등은 불필요한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장의 경우 유권자의 10%인 약 82만 5000명의 서명과 더불어 서울시 25개 구 중 9개 구 이상에서 각 구의 10% 이상을 확보해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