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데타 시도 진압 뒤 비상사태를 선포하며 집권 공고화작업을 벌이고 있는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정부가 헌법 개정 움직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쿠데타 배후 척결을 위해 유명 언론인에 대한 체포영장이 발부된 상황에서 사형제 부활 가능성도 열어뒀다.
비날리 이을드름 총리는 25일(현지시간) 수도 앙카라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모든 주요 정당이 새 헌법 작업에 돌입할 준비가 됐다”며 개헌 계획을 발표했다고 AFP가 보도했다. 이을드름 총리는 이날 오전 에르도안 대통령이 케말 클르치다롤루 공화인민당(CHP) 대표, 데블렛 바흐첼리 민족주의행동당(MHP) 대표 등 야당 대표와 만나 개헌의사를 분명히 했다고 소개했다. 다만 이을드름 총리는 어떤 방향으로 헌법을 고쳐 나갈지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는 않았다.
에르도안 대통령이 창당한 집권 정의개발당(AKP)은 지난해 총선에서 압승한 뒤 현재의 의원내각제에서 대통령에 더 많은 권한을 주는 대통령제로 전환하는 개헌을 서둘러 왔다.
개헌문제와 별도로 에르도안 대통령은 사형제 부활도 거론했다. 그는 독일 공영 ARD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국민들은 사형제가 재도입되기를 바란다”며 “정부로서는 국민이 말하는 것을 들어야 하며 관심없다고 말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터키는 2004년 사형제를 폐지하는 내용의 헌법 개정을 한 바 있다. 사형제 부활을 위해서는 개헌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제1야당 CHP가 쿠데타 반대 시위에 합류하고 대표가 에르도안 대통령과 만나는 등 변화 조짐을 보이고 있어 절호의 기회다. 다만 유럽연합(EU)은 터키가 사형제를 부활할 경우 터키의 EU가입은 물건너갈 것이라며 강력히 경고한 상황이다.
터키는 또 쿠데타 배후세력에 대한 척결작업도 이어갔다. 휴리예트와 예니사파크 등 터키 유력 언론에서 활동한 여성 언론인 나즐리 을르작을 포함한 유명 언론인 42명에 체포영장이 발부됐다. 영장이 발부된 언론인 중 10여명은 해외로 빠져나간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이들은 언론활동이 아닌 ‘범죄행위’로 심문을 받게 될 것이라고 터키 당국은 전했다.
한편 이을드름 총리는 보스포루스 해협에 놓인 보스포루스 대교의 이름을 ‘7·15순교자들의 다리’로 개명한다고 밝혔다.
이제훈 기자 parti98@seoul.co.kr
비날리 이을드름 총리는 25일(현지시간) 수도 앙카라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모든 주요 정당이 새 헌법 작업에 돌입할 준비가 됐다”며 개헌 계획을 발표했다고 AFP가 보도했다. 이을드름 총리는 이날 오전 에르도안 대통령이 케말 클르치다롤루 공화인민당(CHP) 대표, 데블렛 바흐첼리 민족주의행동당(MHP) 대표 등 야당 대표와 만나 개헌의사를 분명히 했다고 소개했다. 다만 이을드름 총리는 어떤 방향으로 헌법을 고쳐 나갈지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는 않았다.
에르도안 대통령이 창당한 집권 정의개발당(AKP)은 지난해 총선에서 압승한 뒤 현재의 의원내각제에서 대통령에 더 많은 권한을 주는 대통령제로 전환하는 개헌을 서둘러 왔다.
개헌문제와 별도로 에르도안 대통령은 사형제 부활도 거론했다. 그는 독일 공영 ARD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국민들은 사형제가 재도입되기를 바란다”며 “정부로서는 국민이 말하는 것을 들어야 하며 관심없다고 말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터키는 2004년 사형제를 폐지하는 내용의 헌법 개정을 한 바 있다. 사형제 부활을 위해서는 개헌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제1야당 CHP가 쿠데타 반대 시위에 합류하고 대표가 에르도안 대통령과 만나는 등 변화 조짐을 보이고 있어 절호의 기회다. 다만 유럽연합(EU)은 터키가 사형제를 부활할 경우 터키의 EU가입은 물건너갈 것이라며 강력히 경고한 상황이다.
터키는 또 쿠데타 배후세력에 대한 척결작업도 이어갔다. 휴리예트와 예니사파크 등 터키 유력 언론에서 활동한 여성 언론인 나즐리 을르작을 포함한 유명 언론인 42명에 체포영장이 발부됐다. 영장이 발부된 언론인 중 10여명은 해외로 빠져나간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이들은 언론활동이 아닌 ‘범죄행위’로 심문을 받게 될 것이라고 터키 당국은 전했다.
한편 이을드름 총리는 보스포루스 해협에 놓인 보스포루스 대교의 이름을 ‘7·15순교자들의 다리’로 개명한다고 밝혔다.
이제훈 기자 parti98@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