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일간 텔레그래프는 26일(현지시간) 돈을 벌려면 덴마크의 조립식 블록 완구 회사 레고(Lego) 장난감을 사 두는 것이 금이나 주식에 투자하는 것보다 낫다고 보도했다. 지난 15년 동안 출시된 한정판 레고 세트의 중고 가격 상승률과 금·주식의 투자 수익률을 비교해 이런 결론을 내렸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8년간 금 9.6%·주식 4.1% 수익
2000년 2월에 은행에 저금했다면 2.8%, 영국 런던 FTSE100 지수에 투자했다면 4.1%, 금을 샀다면 9.6%씩 연평균 수익을 거뒀겠지만 절판된 레고를 사 완벽한 상태로 보관했다면 연평균 12.0%의 수익을 얻었다는 계산이다.
●‘카페 코너’ 같은 기간 2229% 올라
예컨대 레고 중고 사이트인 브릭피커닷컴에서 3119.9달러(약 365만원)에 팔리는 ‘카페 코너’의 2007년 발매 당시 시판가는 133.95달러였다. 8년 동안 수익률이 2229%에 달하는 셈이다. 같은 해 출시된 ‘마켓 스트리트’는 89.3달러에서 1038.97달러(약 121만원)로 올라 1064%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홀리데이 트레인’은 2006년 74.41달러에 출시됐지만 현재 854.4달러(약 100만원)로 1048% 높은 가격에 거래된다.
특히 ‘스타워즈 시리즈’는 중고 사이트에서 가장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다. 2007년 작인 ‘밀레니엄 팰컨’은 4036.81달러(약 472만원)에, 2005년 작인 ‘데스스타Ⅱ’는 2268.47달러(약 265만원)에 값이 매겨졌다. 2위인 ‘카페 코너’, 세 번째로 높은 가격인 2750.75달러(약 321만원)에 거래되는 2008년 작 ‘타지마할’을 제외하면 5위까지 중 3개가 스타워즈 시리즈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5-12-28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