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기 오염의 정도를 측정하는 잣대가 되는 이산화질소의 집중도를 나타내는 2014년 지구촌 사진에서 한반도 남쪽은 중국 동부와 함께 최고 수준을 드러내며 빨갛게 물들었다. 2015.12.15
NASA 제공
대기 오염물로 붉게 물든 한반도 남부
한국의 좋지 않은 대기 환경이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15일(현지시간) 발표한 위성사진 분석을 통해 재확인됐다.
대기 오염의 정도를 측정하는 잣대가 되는 이산화질소의 집중도를 나타내는 2014년 지구촌 사진에서 한반도 남쪽은 중국 동부와 함께 최고 수준을 드러내며 빨갛게 물들었다. 2015.12.15
NASA 제공
대기 오염의 정도를 측정하는 잣대가 되는 이산화질소의 집중도를 나타내는 2014년 지구촌 사진에서 한반도 남쪽은 중국 동부와 함께 최고 수준을 드러내며 빨갛게 물들었다. 2015.12.15
NASA 제공
한국과 중국은 최악의 공기 상태로 나타났다.
15일(현지시간) NASA가 공개한 고해상 위성 지도를 보면 중국 중서부의 광범위한 지역과 한국 대부분 지역이 최악을 의미하는 붉은색으로 표시됐다.
이는 NASA 연구진이 2005년부터 2014년까지 세계 195개 도시의 공기 질을 추적한 결과다.
자동차, 발전소, 다른 산업 활동 등을 통해 배출되는 대표적인 오염 물질인 이산화질소가 주요 분석 대상 중 하나다.
서울의 2014년 평균 이산화질소 농도는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인 18.6으로, 지난 10년 동안 1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인 성장 산업국인 중국은 지난 10년 동안 화베이 평원에서 이산화질소 배출량이 20∼50% 증가했지만, 베이징과 상하이, 광저우와 홍콩 등이 있는 주강 삼각주 지역 등 대도시에서는 4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좋지 않은 대기 환경이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15일(현지시간) 발표한 위성사진 분석을 통해 재확인됐다.
대기 오염의 정도를 측정하는 잣대가 되는 이산화질소의 집중도를 나타내는 2014년 지구촌 사진에서 한반도 남쪽은 중국 동부와 함께 최고 수준을 드러내며 빨갛게 물들었다. 2015.12.15
NASA 제공
▲ 대기 오염물로 붉게 물든 한반도 남부
한국의 좋지 않은 대기 환경이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15일(현지시간) 발표한 위성사진 분석을 통해 재확인됐다.
대기 오염의 정도를 측정하는 잣대가 되는 이산화질소의 집중도를 나타내는 2014년 지구촌 사진에서 한반도 남쪽은 중국 동부와 함께 최고 수준을 드러내며 빨갛게 물들었다. 2015.12.15
NASA 제공
한국의 좋지 않은 대기 환경이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15일(현지시간) 발표한 위성사진 분석을 통해 재확인됐다.
대기 오염의 정도를 측정하는 잣대가 되는 이산화질소의 집중도를 나타내는 2014년 지구촌 사진에서 한반도 남쪽은 중국 동부와 함께 최고 수준을 드러내며 빨갛게 물들었다. 2015.12.15
NASA 제공
가까운 일본의 나가사키는 3.1로 동아시아 지역에서 가장 낮았다.
미국 동부 지역과 서유럽도 이산화질소 배출량이 많은 붉은색으로 나타났지만, 이 지역의 배출량은 지난 10년 동안 오염 물질 배출량을 줄이려는 환경 규제에 힘입어 20∼50%까지 크게 줄었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와 프리토리아가 남반구에서 이산화질소 배출량이 가장 높았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