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여성의원 비율 22.3%…한국 16.3%로 111위

전세계 여성의원 비율 22.3%…한국 16.3%로 111위

입력 2015-09-07 08:35
수정 2015-09-07 08: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995년 유엔의 “여성의원 30% 할당” 결의안 진전없어

우리나라 여성 국회의원의 비율이 전세계 190개국 가운데 111위로 하위권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6일(현지시간) 세계 각국의 의회가 국제의회연맹(IPU)에 제출한 의원현황 자료(http://www.ipu.org/wmn-e/classif.htm)를 보면 올해 8월1일 현재 한국은 전체 국회의원은 300명이며, 이 가운데 여성의원은 16.3%인 49명이라고 신고했다.

이에 따라 국제의회연맹은 한국 여성의원 비율이 신고한 190개국 가운데 88위에 해당한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공동순위 등을 감안하면 우리나라 여성의원 비율은 190개국 가운데 실제로는 111위로 확 떨어진다.

이와 관련, 단원제·양원제의 구분없이 국제의회연맹에 신고된 전세계 의원수는 4만5천83명이다. 이 가운데 여성은 9천947명으로 22.3%다. 전세계 여성의원의 평균 비율이 한국 여성의원 비율보다는 높다.

이는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와 비례제 여성할당 50% 제도를 도입하겠다는 우리나라 국회의 약속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의 국회에 해당하는 하원만을 기준으로 할 때 전세계 의원은 3만8천133명으로, 이 가운데 여성은 22.6%인 8천517명으로 집계됐다.

여성의원이 가장 많은 나라는 르완다로 전체 의원 80명 가운데 51명(63.8%)이 여성이다. 볼리비아는 의원 130명 가운데 여성이 69명(53.1%)으로 2위다.

쿠바는 612명에 달하는 의원 가운데 299명(48.9%)이 여성으로 3위에 올랐다.

유럽의 맹주인 독일은 전체 의원 631명 가운데 여성의원이 230명(36.5%)으로 20위를 점했다.

영국은 650명 가운데 191명(29.4%)이 여성으로 38위를 차지했고, 프랑스는 577명 중 여성은 151명(26.2%)으로 공동 46위에 올랐다.

미국은 전체 하원의원 434명 가운데 여성이 84명(19.4%)으로 75위권에 머물렀다.

한국의 인접국인 중국은 전체 의원 2천959명 가운데 여성이 699명(23.6%)에 달해 우리나라보다 훨씬 높은 57위에 올랐다.

북한은 전체 의원 687명 가운데 여성의원은 112명이라고 신고했다. 이에 따라 여성의원 비율이 16.3%로 한국과 같았다.

양원제인 일본은 우리나라 국회에 해당하는 중의원의 전체의원 475명 가운데 여성이 45명(9.5%)으로 공동 117위권으로 밀려났다.

여성의원이 단 한 명도 없는 나라는 카타르, 통고, 예멘 등 6개국에 달했다.

앞서 유엔은 1995년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유엔여성회의에서 회원국별로 여성의원의 비율을 30% 수준까지 끌어올리겠다는 결의안을 채택한 바 있지만 20년이 지나도록 크게 나아지지 않은 상태다.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서울시의회 김동욱 의원(국민의힘, 강남5)의 지속적인 관심과 예산 확보 노력에 힘입어, ‘개포택지’를 포함한 노후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서울시는 지난 5월 ‘택지개발지구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 용역을 착수했으며, 6월에는 착수보고회를 통해 과업 방향과 주요 과제를 공유했다. 이번 용역에는 개포택지를 포함한 총 10개 택지지역이 대상에 포함되며, 도시공간본부가 총 1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내년 2월까지 수행할 예정이다. 해당 용역은 지역별 기반시설 현황, 용도지역, 주택 노후도 등 실태를 조사하고 문제점을 분석해, 택지개발 당시 계획된 구조와 현재의 주거 수요 간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는 합리적 도시관리 기준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김 의원은 “개포택지는 준공 이후 수십 년이 지난 단독주택지가 밀집해 있음에도, 도시계획적 관리는 사실상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주민들이 주차, 도로, 주거환경 등의 문제로 불편을 겪고 있다”며, “이번 용역을 계기로 개포택지의 여건을 반영한 실효성 있는 도시관리방안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올해 9월까지 기초조사와 분석을 완료하고, 내년 2월에 최종 용역 결과가 나올 예
thumbnail -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