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단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에서 내분과 갈등이 계속 표출되고 있으며, IS 지도부가 집단 공개처형으로 이를 봉합하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신문에 따르면 현재 IS에서 가장 크게 불거진 갈등은 외국인 가담자와 현지인 출신 가담자 간의 반목이다.
이는 외국인 가담자들이 IS 지도부로부터 새로 자동차와 집을 배정받고 주로 도시 지역에 살게 되는 데 비해, 시리아나 이라크인 출신자들은 교외의 진지로 나가도록 지시받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을 비롯한 국제동맹군은 IS에 대한 공습을 계속하고 있지만, 민간인 피해 발생을 우려해 도시 지역에 대한 공습은 자제하는 상황이다.
시리아-이라크 국경도시인 아부카말에서는 지난주 자유시리아군(FSA) 탈주자 출신 시리아인이 지휘하는 무장세력과 쿠웨이트인이 지휘하는 무장세력 간 총격전이 벌어졌는데, 그 원인이 바로 배치 지역에 대한 불만 때문이었다.
이탈자를 막으려는 IS의 노력도 필사적이다.
IS가 근거지로 삼은 시리아 락까에서는 지난달 아시아인으로 추정되는 30∼40명의 시신이 발견됐다. 현지의 반 IS 성향 주민들은 숨진 이들이 탈주를 시도하다 발각됐다고 전했다.
영국에서 활동하는 인권단체 시리아인권관측소(SOHR)는 최근 몇 주 동안 공개 처형된 약 120명의 IS 가담자 가운데 대부분이 IS에서 이탈하려다 붙잡힌 사람들이었다고 전했다.
물론 이런 현상이 IS가 곧 붕괴될 것임을 의미하지는 않지만, IS 입장에서 국제동맹군의 공습보다 내부 분열이 더 심각한 위협일 것이라고 중동문제 전문가들이 지적했다.
레바논 베이루트에서 활동하는 카네기 중동센터의 리나 카티브 소장은 WP와의 인터뷰에서 “IS에 속한 사람들을 하나로 묶던 기본 이념의 붕괴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이로 인해 당장 변화가 생기지는 않겠지만, IS의 통치나 전투 모두를 약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이 신문에 따르면 현재 IS에서 가장 크게 불거진 갈등은 외국인 가담자와 현지인 출신 가담자 간의 반목이다.
이는 외국인 가담자들이 IS 지도부로부터 새로 자동차와 집을 배정받고 주로 도시 지역에 살게 되는 데 비해, 시리아나 이라크인 출신자들은 교외의 진지로 나가도록 지시받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을 비롯한 국제동맹군은 IS에 대한 공습을 계속하고 있지만, 민간인 피해 발생을 우려해 도시 지역에 대한 공습은 자제하는 상황이다.
시리아-이라크 국경도시인 아부카말에서는 지난주 자유시리아군(FSA) 탈주자 출신 시리아인이 지휘하는 무장세력과 쿠웨이트인이 지휘하는 무장세력 간 총격전이 벌어졌는데, 그 원인이 바로 배치 지역에 대한 불만 때문이었다.
이탈자를 막으려는 IS의 노력도 필사적이다.
IS가 근거지로 삼은 시리아 락까에서는 지난달 아시아인으로 추정되는 30∼40명의 시신이 발견됐다. 현지의 반 IS 성향 주민들은 숨진 이들이 탈주를 시도하다 발각됐다고 전했다.
영국에서 활동하는 인권단체 시리아인권관측소(SOHR)는 최근 몇 주 동안 공개 처형된 약 120명의 IS 가담자 가운데 대부분이 IS에서 이탈하려다 붙잡힌 사람들이었다고 전했다.
물론 이런 현상이 IS가 곧 붕괴될 것임을 의미하지는 않지만, IS 입장에서 국제동맹군의 공습보다 내부 분열이 더 심각한 위협일 것이라고 중동문제 전문가들이 지적했다.
레바논 베이루트에서 활동하는 카네기 중동센터의 리나 카티브 소장은 WP와의 인터뷰에서 “IS에 속한 사람들을 하나로 묶던 기본 이념의 붕괴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이로 인해 당장 변화가 생기지는 않겠지만, IS의 통치나 전투 모두를 약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