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타리카, ‘인어’ 매너티를 국가 심볼로 지정

코스타리카, ‘인어’ 매너티를 국가 심볼로 지정

입력 2014-07-31 00:00
수정 2015-02-03 13: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카리브해의 코스타리카가 해우(海牛·바다소)의 일종인 ‘매너티’(manatee)
카리브해의 코스타리카가 해우(海牛·바다소)의 일종인 ‘매너티’(manatee)
카리브해의 코스타리카가 해우(海牛·바다소)의 일종인 ‘매너티’(manatee)를 국가의 상징 동물로 지정했다.

코스타리카 의회는 표결을 통해 이러한 결정을 내렸다고 중남미 뉴스매체인 텔레수르가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특히 매너티는 세계적으로 멸종 위기에 처한 독특한 해양 포유류로 새끼를 안고 젖을 먹이는 모습이 사람을 닮아 인어를 연상시키는 동물이다.

매너티를 국가를 상징하는 동물로 지정한 계기는 3년전 동부 카리브해 연안의 리몬주(州)에 있는 학 초등학교의 학생들이 제안하면서 시작됐다.

이 학교 과학 교사는 코스타리카 국립대 생물학자들의 도움을 받아 이러한 내용을 의회에 청원했다.

매너티는 코스타리카 동부 카리브해 연안의 바라 델 콜로라도 국립공원과 토르투게로 국립공원이 접하는 하구의 소금기 있는 물에서 서식하고 있다.

몸 길이는 최대 3m, 무게는 1t까지 나가는 매너티는 강둑의 해초를 주식으로 하면서 느릿느릿 유영하고 다닌다.

그러나 하구를 오가는 배들에 부딪혀 목숨을 잃는가 하면 기름이 유출되는 등 수질 오염으로 서식 환경이 위협을 받고 있다.

코스타리카의 동물 보호단체는 매너티가 나라를 상징하는 동물로 지정되면서 이들의 보호를 잘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매너티는 세계에 약 1천마리 정도만 생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우목에 속하는 동물로 매너티의 친척뻘인 듀공(dugong)이 있다.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서울시의회 김동욱 의원(국민의힘, 강남5)의 지속적인 관심과 예산 확보 노력에 힘입어, ‘개포택지’를 포함한 노후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서울시는 지난 5월 ‘택지개발지구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 용역을 착수했으며, 6월에는 착수보고회를 통해 과업 방향과 주요 과제를 공유했다. 이번 용역에는 개포택지를 포함한 총 10개 택지지역이 대상에 포함되며, 도시공간본부가 총 1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내년 2월까지 수행할 예정이다. 해당 용역은 지역별 기반시설 현황, 용도지역, 주택 노후도 등 실태를 조사하고 문제점을 분석해, 택지개발 당시 계획된 구조와 현재의 주거 수요 간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는 합리적 도시관리 기준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김 의원은 “개포택지는 준공 이후 수십 년이 지난 단독주택지가 밀집해 있음에도, 도시계획적 관리는 사실상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주민들이 주차, 도로, 주거환경 등의 문제로 불편을 겪고 있다”며, “이번 용역을 계기로 개포택지의 여건을 반영한 실효성 있는 도시관리방안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올해 9월까지 기초조사와 분석을 완료하고, 내년 2월에 최종 용역 결과가 나올 예
thumbnail -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