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 랴오닝함 모항 전경사진 첫 공개
중국 국방부가 자국의 첫 번째 항모인 랴오닝(遼寧)함이 산둥(山東)성 칭다오(靑島)의 샤오커우즈(小口子) 해군 기지에 정박해 있는 사진을 8일 처음으로 공개했다. 사진은 공사 중인 항모 전용 부두 인근의 고지에서 촬영된 것으로 랴오닝함과 전용 부두, 방파제 등의 모습이 담겨 있다. 중국군은 실전 배치한 랴오닝함을 칭다오를 모항으로 한 북해함대에 배치, 운용하고 있다.
12회째인 이번 포럼은 권력 교체 이후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처음 주재하는 다자 초청 외교 무대였다는 점에서 시작 전부터 ‘흥행’을 예고했다. 신화통신 등 중국 관영 언론들은 “시 주석의 발언을 세계 언론들이 대서특필했으며 보아오는 세계적인 영향력을 갖는 포럼으로 격상됐다”고 평가했다.
실제 시 주석은 전날 연설에서 세계와 아시아의 안정과 협력, 그리고 ‘중국 역할론’을 강조하면서 세계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특히 북한의 무력시위를 겨냥한 듯 “누구도 세계 평화를 위협해선 안 된다”고 역설해 주요 2개국(G2)으로서 국제 이슈에 대한 중국의 책임의식을 외면하지 않겠다는 것을 대내외에 과시했다.
중국경제 ‘세일’에도 적극적으로 나섰다. 시 주석은 폐막일인 이날 국내외 기업가 대표와의 좌담회에서 “중국의 경제 성장은 앞으로도 상당 기간 비교적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자신감을 보이며 외국 기업의 중국 투자를 독려했다.
그는 “산업화, 지식화, 도시화, 농업 현대화 등의 조치가 거대한 시장을 창출할 것이기 때문에 중국의 발전 전망은 총체적으로 밝다”고 설명했다.
시 주석은 이번 포럼에서 양안(兩岸·중국과 타이완) 관계 강화도 모색했다. 그는 이날 양안공동시장기금회 명예 회장을 맡고 있는 샤오완창(蕭萬長) 전 타이완 부총통과 만나 앞으로도 평화 발전의 원칙 속에서 협력을 통해 양안 관계를 한층 더 강화하기로 했다.
반면 일본과의 관계 개선 시도는 거부했다. 시 주석은 전날 포럼에 참가한 일본 후쿠다 야스오 전 총리와 만났으나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를 둘러싼 대립으로 냉각된 중·일 관계와 관련된 문제에 대해서는 전혀 논의하지 않았다.
후쿠다 전 총리는 재임 당시 중국 중시를 표방했던 만큼 당초 이번 회담을 통해 관계 개선을 모색하려 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후쿠다 전 총리는 시 주석과의 회담 후 기자들과 만나 “양국은 외교 채널을 통해 관계 개선을 모색해야 한다”며 아쉬움을 토로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2013-04-09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