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슈링크플레이션/황비웅 논설위원

[씨줄날줄] 슈링크플레이션/황비웅 논설위원

황비웅 기자
황비웅 기자
입력 2023-10-31 00:28
수정 2023-10-31 00: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100g 중량의 과자를 100원에 파는 제과 회사가 있다고 가정해 보자. 경제위기가 닥쳐 회사 비용을 10% 절감해야 되는 상황이 온다면 어떤 방법이 있을까. 우선 100원짜리 과자 가격을 10% 올린 110원에 팔 수 있다. 하지만 가격을 올리면 소비자들은 구매를 꺼려 판매량이 감소할 것이다. 다른 방법은 100g짜리 과자의 양을 10% 줄이는 것이다. 사람들은 과자 중량이 줄더라도 체감하기 어렵다. 이런 방법을 ‘슈링크플레이션’이라고 한다.

슈링크플레이션은 줄어든다는 뜻의 슈링크(shrink)와 물가상승을 의미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한 용어다. 제품의 가격은 그대로 두면서 크기나 수량을 줄이거나 품질을 낮춰 간접적인 가격 인상 효과를 내는 것을 의미한다. 영국의 여성 경제학자인 피파 맘그렌이 고안했다.

‘질소를 샀는데 과자를 덤으로 준다’는 얘기를 들어 본 적이 있을 것이다. 과자 봉지에 들어 있어야 할 과자의 양은 눈에 띄게 줄어들고, 대신 충격보호제 또는 산화방지제로 쓰이는 질소의 양만 늘어났다는 뜻으로 ‘질소과자’라고도 불린다. 질소과자의 탄생 배경을 알아보려면 1997년 외환위기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외환위기 이후 식료품 가격이 올라가면서 제과업체들이 높아진 단가를 상쇄하기 위해 질소 과대포장을 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슈링크플레이션은 우리나라만의 현상이 아니다. 2016년 6월 국민투표로 영국의 브렉시트가 결정된 이후에는 전 세계적인 현상으로 번져 가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뾰족뾰족한 삼각뿔로 유명한 스위스의 토블론 초콜릿이 있다. 이 초콜릿 제조업체인 몬덜리즈는 원가 상승 등을 이유로 영국에서 기존의 초콜릿 용량을 줄이면서 삼각뿔 디자인을 점차 넓혔다. 그 결과 기존 무게인 170g이 150g까지 줄었다.

전 세계적으로 물가가 치솟은 지난해부터 슈링크플레이션이 다시 기승을 부리고 있다. 동원F&B는 ‘양반김’의 중량을 기존 5g에서 4.5g으로 낮췄고, 해태제과도 ‘고향만두’ 용량을 기존 415g에서 378g으로 줄였다고 한다. 모두 가격은 그대로 둔 채 용량만 줄였다. 기업이 신뢰를 상실하는 건 한순간이다. 제품 용량을 줄이는 꼼수도 적당히 했으면 한다.
2023-10-31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