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이완구 총리의 ‘거시기’/진경호 논설위원

[씨줄날줄] 이완구 총리의 ‘거시기’/진경호 논설위원

진경호 기자
진경호 기자
입력 2015-04-17 23:54
수정 2015-04-18 00: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거시기할 때까지 거시기해 불자~!’ 2003년 나온 코믹영화 ‘황산벌’에 나오는 백제 장군 계백의 참 거시기한 대사 가운데 하나다. 대체 무슨 말인가. 어떤 게 거시기고, 뭘 거시기하나.

이 알 듯 모를 듯한 ‘거시기’ 미스터리는 영화 중반 신라군을 거의 패닉 상태로 몰아넣는다. 첩자가 염탐해 온 “머시기할 때꺼정 갑옷을 거시기한다”(이길 때까지 절대 갑옷을 벗지 않는다)는 계백의 말 한마디에 신라군 역관은 “암호 해독 20년에 이런 고난도 암호는 듣도 보도 못했다”며 울상을 짓고, 이에 김유신은 겁먹은 얼굴로 “거시기의 정체를 파악할 때까지 느그들 절대 총공격은 안된데이~”라며 전군에 비상 대기를 명한다.

표준말이건만 충청도와 전라도 사람들이 즐겨 쓰는 탓에 이 지역 사투리나 진배 없는 ‘거시기’는 그야말로 천(千)의 얼굴을 지녔다. 사전은 ‘이름이 얼른 생각나지 않거나 바로 말하기 곤란한 사람 또는 사물을 가리키는 대명사’이자, ‘하려는 말이 얼른 생각나지 않거나 바로 말하기가 거북할 때 쓰는 군소리’라고 정의하지만, 실제로 쓰이는 용례는 훨씬 다양하다. 상황에 따라 그 어떤 뜻도 될 수 있다.

‘거시기’가 충청에서 특히 사랑받는 건 무엇이든 에둘러 표현하길 좋아하는 지역민들의 기질 때문일 것이다. 선거 때면 상당수 여론조사를 엉터리로 만들고 후보들의 속을 새까맣게 태울 만큼 제 속을 잘 드러내지 않는 사람들이다 보니 말투 또한 거시기한 경우가 많은 게 사실이다.

이완구 국무총리가 ‘충청도 말투’를 들먹였다. 지난 16일 국회 대정부 질문에서 ‘성완종 리스트와 관련해 이완구의 말을 믿을 수 없다’는 얘기가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야당 의원 물음에 “충청도 말투가 그런 것 같다”고 했다. 자신의 해명이 엉거주춤하게 들리는 건 뒤가 구리기 때문이어서가 아니라 충청도 말이 원래 애매하기 때문이라는 얘기다.

그럴듯하지만, 한참 잘못된 말이다. 충청도 말투가 그토록 거시기한 건 ‘이심전심’(以心傳心)이라는 거대한 지역 공동체의 오랜 유대감이 면면히 담겨 있기 때문이다. 굳이 말로 꺼낼 필요가 없을 만큼 서로 이해하고 공감하기에 ‘거시기’라는 말 하나로 모두가 통하는 것이다. 외지인의 눈엔 속내를 숨기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들 서로는 속내를 죄다 터놨기에 다른 군말이 필요 없을 뿐인 것이다.

성완종씨와 만났다는 건지 아닌지, 어제 다르고 오늘 다른 이 총리의 말은 충청도 어법과 거리가 멀다. 계백의 ‘거시기해 불자’는 말이 나당(唐) 연합군에 맞서 “죽을 때까지 싸우자”며 불굴의 투지를 불태우는 말임은 모두가 알지만 이 총리의 어법은 충청 사람들도 모를 듯하다.

참, ‘황산벌’에서 김유신이 한마디했다. “강자가 살아남는 기 아니라, 살아남은 자가 강자인 기데이~.” 지금 이 총리가 이 말을 붙들고 있는 건 아닌지 걱정스럽다.

진경호 논설위원 jade@seoul.co.kr
2015-04-18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