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파랑 민주당/진경호 논설위원

[씨줄날줄] 파랑 민주당/진경호 논설위원

입력 2013-09-03 00:00
수정 2013-09-03 00: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근대사에서 빨강은 혁명의 색이다. 사회주의 혁명을 거친 나라들의 국기가 온통 붉은색으로 덮인 것이 이를 말해준다. 노란 별과 망치가 그려진 옛 소련과 다섯 개의 노란 별이 새겨진 중국의 국기가 그렇다. 베트남 역시 빨간 바탕에 커다란 노란색 별 하나가 찍힌 국기를 쓴다. 빨강이 단결과 희생·순수를 상징한다면, 노랑은 대개 광명을 뜻한다.

물론 빨강이 늘 혁명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서구에서 빨강은 대개 기독교적 희생의 의미를 담고 있다. 빨강과 파랑, 흰색을 세로로 늘어뜨린 프랑스의 국기에서 빨강은 박애를, 검정과 빨강·노랑을 가로로 그린 독일의 국기에서 빨강은 자유를 추구하는 정신을 상징한다. 반면 태극기의 태극 문양에 담긴 빨강과 파랑은 양(陽)과 음(陰)을 상징한다. 음양이 어우러져 조화를 이루는 세상을 뜻하는 것이다. 이렇듯 각 나라 국기에 담긴 색상은 동서고금의 문화적 차이에 따라 의미를 조금씩 달리한다.

그러나 관점을 바꿔 현대 색채심리학(color psychology)을 들이대면 각 색채가 지니는 의미는 크게 달라진다. 문화나 역사적 배경을 떠나 각 색채가 지닌 고유의 파장이 인간으로 하여금 특정한 이미지를 갖도록 만드는 것이다. 가시광선 가운데 가장 짧은 파장을 지닌 빨강은 강렬한 자극으로 인해 대개 열정, 위험, 희생, 불안과 같은 이미지를 갖게 만든다. 반면 노랑은 심리적으로 자신감과 낙천적인 태도를 갖게 하지만 그 자체로 조심과 주의, 불확실과 같은 이미지를 지닌다. 이들과 함께 삼원색의 하나인 파랑은 상쾌, 신선, 청량, 냉정, 신비 등의 이미지를 지니고 있다.

민주당이 당색을 파랑으로 바꿨다. 새누리당이 20년 넘게 사용했고, 세계적으로 자유주의 정당들이 즐겨 사용하는, 우파의 상징색이다. 1년 반 전 새누리당이 당명 개정과 함께 빨강을 당색으로 삼고 나섰을 때만큼이나 파격이다. 그러나 더 큰 파격은 민주당이 새누리당을 좇은 것보다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초록과 노무현 전 대통령의 노랑을 버렸다는 점일 것이다. 초록색으로 집권하고, 노란색으로 정권을 재창출했던 과거 10년 영화(?)에 대한 미련을 훌훌 내던진 것이다. “파란색을 쓰면 당의 좌파 이미지가 다소 불식되지 않겠느냐”고 민주당 관계자가 말했다고 한다. 그러나 기저엔 그보다 친노(친노무현)의 굴레에서 벗어나고픈 김한길 대표의 절박감이 더 강렬해 보인다. 파란색의 파장은 신진대사를 증대시켜 심신에 활력을 불어넣어 주고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가져다 준다고 한다. 모쪼록 유쾌·상쾌·통쾌한 민주당식 파란 정치를 기대한다.

진경호 논설위원 jade@seoul.co.kr

2013-09-03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