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수목원에서 만난 시인

[길섶에서] 수목원에서 만난 시인

박성원 기자
박성원 기자
입력 2025-05-01 00:10
수정 2025-05-01 00: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며칠 전 경기도 포천의 한 수목원에 발걸음을 했다. 수목원에서 올해로 23회를 맞는 지훈문학상 시상식이 열렸는데 지인의 초청으로 참석할 기회를 얻은 것이다. 20만평 남짓한 수목원 안쪽으로 접어드니 3000여 그루의 아름다운 반송(盤松)들과 10만 그루의 곧게 뻗은 자작나무숲이 눈에 선연하게 들어왔다. 문학상을 주관하는 나남출판의 회장으로 수목원을 직접 일군 조상호 대표의 나무에 대한 사랑과 열정이 고스란히 느껴지는 풍경이었다.

이날 수상자인 김근 시인은 기념강연 도중 다음과 같이 끝나는 조지훈 시인의 ‘화비기’(華悲記)를 낭송했다.

“정열이 과잉되면 생활은 모자라 슬픈 자극은 한밤의 비극을 낳는다. 나는 대체 죽었느니라.”

김 시인은 “요즘 정치·사회의 혼란상을 목도하면서 우리 언어가 얼마나 타락할 수 있는지 실감한다”면서 “시의 언어는 그 불확실성 속에서 우리가 어떤 가치를 향해 나아갈 수 있는 믿음을 발견하게 해 준다”고 했다. 숲속 나무들이 신선한 바람으로 대화하듯 아름다운 언어로 서로 소통하길 갈구하는 시인의 목마름이었다.
2025-05-0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울시 마스코트 ‘해치’가 탄생 1주년을 맞이했다. 전세계 지자체 마스코트 중 가장 유명한 일본 구마모토현의 ‘쿠마몬’도 올해로 14살을 맞이했다. 우리나라 지자체들도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마스코트를 앞다투어 만들고 교체하고 있다. 이런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활용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없어 예산낭비다.
지역 정체성 홍보를 위해서 꼭 필요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