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고향 바다/이동구 논설위원

[길섶에서] 고향 바다/이동구 논설위원

이동구 기자
입력 2017-07-26 23:18
수정 2017-07-27 01: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바다가 그리워진다. 집어삼킬 듯 밀려오던 힘찬 파도의 굉음이 듣고 싶다. 어린아이의 작은 발자국마저 흔쾌히 새겨 주던 반쯤 잠긴 백사장을 다시 걸어 보고 싶다. 배꼽쯤의 깊이에서 머리를 처박은 채 조개 잡으며 놀았던 해수욕장. 청소년기의 방황을 잡아 줬던 짠 내음 가득한 갯바위들이 자꾸 떠오른다.

어린 시절 추억의 절반은 바닷가 백사장에 묻혀 있다. 또래의 아이들과 수없이 쌓았던 모래성과 모래싸움. 파도에 닳고 닳아 하얗게 변한 조개껍데기로 날렸던 물수제비. 온몸을 뜨거운 모래로 덮고 얼굴만 내놓은 채 먹었던 ‘아이스께끼’의 달콤함. 하얀 도화지인 양 백사장에 마구 갈겨 댔던 수많은 낙서들. 세월에 흘려보냈던 옛일들이 마음 저편에서 파도처럼 일렁거린다.

“~(중략)/일상이 메마르고/ 무디어질 땐/ 새로움의 포말로/ 무작정 달려올게”(이해인의 ‘파도의 말’)라는 시구가 들리는 듯하다. 자꾸만 바다로 달려가고 싶은 것은 더위 탓만이 아닌 듯. 유난히 뜨거웠던 고향의 바닷가 백사장에 묻어 두었던 젊은 날의 꿈을 다시 찾고픈 마음은 아닐지….
2017-07-27 3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