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봄바람/최용규 논설위원

[길섶에서] 봄바람/최용규 논설위원

최용규 기자
입력 2017-03-28 22:48
수정 2017-03-28 23: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노란 산수유가 전령으로 왔나 싶더니 털옷을 두른 목련이 터질 것 같은 봉오리를 수줍게 내민다. 그토록 봄을 시샘했던 꽃샘추위도 밀고 들어오는 봄바람에 조용히 길을 터 줬다. 때를 만난 양지 바른 길가 벚나무는 절세미인의 자태를 뽐내려는 듯 우윳빛 속살을 드러내고, 담벼락 개나리도 얼굴을 들었다.

3월 말. 티석티석한 생물에 간질간질하게 달라붙은 봄바람이 소생의 기운을 불어넣었나…. 잿빛 세상이 희고 노랗고 빨간 유채색 세상으로 바뀌고 있다. 이리저리 몸을 꼬지만 결코 싫지 않은 간지러움처럼 그저 살짝 스쳐 갔을 뿐인데 이토록 힘이 셀 줄이야. 그래서 봄은 젊음이고 청춘인가 보다.

옛적에 시황제가 불로초를 목 빼고 기다렸다면 우리는 봄바람에 실려 온 따스한 4월을 손꼽아 기다린다. 세상 풍파에 찌들어 짙은 물 배지 않은 연녹색의 4월을 혈기 팔팔한 아이들은 알까, 아니 느끼려 할까? 나이 들어서야 젊음을 그리워하듯 봄바람이 깨우는 초록이 그립다. 맨발로 논바닥을 걸어 보고 싶고 누구와 팔짱 끼고 들판에서 향기를 맡고 싶은 그런 4월을 기다린다. 흠뻑 취하고 싶은 초록의 봄을….

최용규 논설위원 ykchoi@seoul.co.kr
2017-03-29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