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장마/박홍기 논설위원

[길섶에서] 장마/박홍기 논설위원

박홍기 기자
입력 2016-07-05 20:42
수정 2016-07-05 21: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장마다. 하늘엔 먹구름이 가득하다. 빗발이 굵어졌다 가늘어지기를 되풀이한다. 논둑에 심은 콩이며, 밭에서 시들하던 깨 모종이 모처럼 맞은 비에 고개를 드는 듯하다. 논에는 물이 흥건하게 차고, 밭고랑에도 하얗게 물이 고인다. 도랑의 물살이 덩달아 빨라진다. 냇물은 벌써 많이 불었다. 멀리 들판에서 우비를 입은 농부가 제법 자란 모가 상할까 싶어 물꼬를 적당히 터 놓는다.

장마가 들기 전까지 몹시 가물었다. 가뭄에 논도, 밭도 타들어 갔다. 논에 물을 대도 바닥만 간신히 적실 뿐 기별이 안 갔다. 뙤약볕에 못 견뎌 축 처진 고추 모에 힘들게 물을 줘도 금방 스며들었다. 하늘만 바라봤다. 서울에서 비 소식이라도 들리면 “거긴 필요 없을 텐데, 애들 회사 다니기만 힘들지…”라며 아쉬운 듯 혀를 차곤 했다.

장마라도 기다렸다. 한 줄금의 소나기가 메마른 대지를 순식간에 적시는 자연의 힘을 익히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장대비가 쏟아지다 잦아들자 농부가 삽을 들고 논으로 나간다. 물꼬를 만지는 소리에 뜸부기가 놀라 푸드덕 날아오른다. 올 장마도 다른 곳에 피해를 주지 않고 점잖게 지나가기를, 농부의 간절한 마음이다.

박홍기 논설위원 hkpark@seoul.co.kr
2016-07-06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