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의 날개달린 세상] 귀여운 사냥꾼/탐조인·수의사

[주인의 날개달린 세상] 귀여운 사냥꾼/탐조인·수의사

입력 2023-10-25 00:04
수정 2023-10-25 00: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2023. 10. 경기 고양시에서 만난 암컷 때까치.
2023. 10. 경기 고양시에서 만난 암컷 때까치.
“츠크츠크”처럼 들리기도 하는데 비슷하게 흉내내기는 어렵다. 벌레가 우는 소리 같기도 하다. 밥 달라고 엄마를 조르는 아기새 같기도 한 소리가 들린다. 전선이나 나무 꼭대기를 선호하지만 의외로 나무 중간 나뭇잎 사이로 보이기도 한다. 바람이 불 때마다 들깨향이 가득해 기분 좋아지는 요즘 유난히 눈에 띄는 때까치 말이다.

처음에는 암컷이 수컷에게 밥 달라고 조르는 건가 싶었다. 전선에 앉아 꼬리를 빙글빙글 돌리고 칙칙거린 녀석은 배쪽으로 갈색의 물결무늬가 보이고, 등쪽은 전체적으로 붉은 갈색을 띠는 암컷이었으니까. 그런데 조금 뒤 근처에 다른 때까치가 날아와 비슷하게 소리를 내며 꼬리를 빙빙 돌리는데, 이번에는 배쪽의 물결무늬가 흐릿하고 조로 가면처럼 두껍고 검은 눈선이 있는 수컷이다.

눈에 띄는 곳에서 더욱 시끄럽게 구는 이유가 딱새처럼 자기 영역을 주장하는 것인지, 아니면 내년의 번식을 위해 미리 짝을 구하고 있는 것인지 알 수는 없다. 그래도 떠들썩하지만 귀여운 모습을 보여 주니 그저 고맙게 관찰하고 사진을 찍을 뿐.
이미지 확대
주인 탐조인·수의사
주인 탐조인·수의사
때까치는 1년 내내 우리나라에서 지내는 텃새라고 하는데, 대추가 맛있게 익은 이맘때 제일 많이 눈에 띈다. 여름에는 보기가 힘들다. 벌레가 많은 산속으로 들어가 둥지를 틀고 새끼를 키우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얼핏 참새랑 비슷해 보이지만 참새보다는 약간 몸집이 크고 직박구리보다는 작다. 그런 작은 몸을 하고도 벌레뿐 아니라 들쥐나 참새도 잡아먹는 대단한 사냥꾼이다.

관찰력이 나빠서 그런지 나는 한 번도 보지 못했는데 이따금 때까치가 사는 곳 근처의 뾰족한 나뭇가지나 가시철사 같은 곳에 때까치가 먹다 남은 쥐나 새가 걸려 있다고 한다. 그래서 때까치류는 귀여운 외모에도 불구하고 유럽에서는 도살자새라고 불린다고도 한다(호주의 도살자새는 전혀 다른 종류다).

때까치가 왜 그렇게 먹이를 걸어 두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다른 맹금처럼 발톱이 날카롭지 않기 때문에 먹이를 고정시켜 두고 부리로 쉽게 찢어 먹을 수 있게 하기 위해서라는 설이 유력하다. 한 번도 그런 모습을 본 적은 없지만 꼬챙이에 걸린 고기를 뾰족한 부리로 잡아당겨 찢어 먹는 모습을 상상하니 고개가 끄덕여진다. 언젠가 실제로 먹이 먹는 모습을 꼭 보고 싶다.
2023-10-25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