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北 미사일 3시간 비행 탐지 못 했다면 큰 문제

[사설] 北 미사일 3시간 비행 탐지 못 했다면 큰 문제

입력 2023-02-27 00:43
수정 2023-02-27 00: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북한이 23일 함경북도 김책시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했다는 전략순항미사일 ‘화살-2’형. 평양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북한이 23일 함경북도 김책시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했다는 전략순항미사일 ‘화살-2’형. 평양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북한이 지난 23일 전략순항미사일 ‘화살2’형 네 발을 동해상으로 발사했다고 이튿날 발표했으나 우리 군당국이 북의 허위 내지 과장 발표 가능성을 제기했다. 북의 미사일이 한미 연합전력 감시망에 탐지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괴이한 일이다. 북의 발표가 거짓이라면 그 의도와 경위를 달리 따져 볼 일이겠으나, 한미 정찰감시자산이 북 미사일을 탐지하지 못한 것이라면 얘기는 달라진다.

북한은 인민군 동부지구 부대에서 발사된 전략순항미사일이 동해에 설정된 2000㎞ 계선의 거리를 타원 및 8자형 비행궤도에 따라 2시간 50분여간 비행해 표적을 명중 타격했다고 주장했다. 사실이라면 이날 이뤄진 한미 확장억제운용수단연습(DSCTTX)에 대한 반발일 것이다. 합참은 그러나 “분석을 더 해봐야 하겠지만 북한의 발표가 과장됐을 수 있다”고 밝혔다. 북한이 밝힌 미사일 비행 시점에도 한미 연합전력 항공기의 정찰감시가 이뤄지고 있었는데 탐지가 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북한 미사일에 대한 감시는 최근 전력화가 이뤄진 ‘그린파인’ 레이더나 동해상 이지스함에서의 탐지, 공중조기경보기(AWACS)의 정찰감시 등 여러 형태가 있다. 다만 북 미사일이 고도 수십~수백 미터의 저공으로 8자 형태로 날아갔다면 감시자산의 전파가 직진하고, 지구 표면이 둥근 점을 감안할 때 포착이 어려웠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듯하다.

지난해 말 북한 무인기에 서울 상공이 뚫린 마당에 북의 순항미사일을 탐지하는 데 실패한 것이라면 상황은 엄중하다고 하겠다. 북은 ‘화살2’ 발사로 핵전투무력 임전태세를 과시했다고까지 말하고 있다. 군은 북의 미사일 발사 여부를 철저히 가리고 초기 탐지에 실패했다면 미사일 감시 태세를 늘릴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길 바란다.
2023-02-27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