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심상찮은 금융시장, 충격 막을 대비책 마련해야

[사설] 심상찮은 금융시장, 충격 막을 대비책 마련해야

입력 2018-10-25 23:10
수정 2018-10-26 01: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내 증시가 가파르게 추락하고 있다. 어제 코스피지수는 전날보다 1.63% 하락한 2063.30을 기록했다. 사흘 연속 연중 최저점을 경신하며 21개월 전 수준으로 뒷걸음쳤다. 전날 기술주의 부진으로 미국 증시가 크게 흔들리면서 그 여파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주요국 증시가 일제히 동반 하락했다. 미국 금리 상승과 미·중 무역전쟁에 대한 우려와 더불어 미국 증시를 떠받치는 최대 요인이었던 대형 기술업체들의 향후 성장이 둔화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시장 전반에 충격을 준 것이다.

투자와 내수 부진으로 가뜩이나 어려운 한국 경제로서는 내우외환이다. 특히 외국인 투자자들이 이달 들어 지난 24일까지 총 3조 4653억원의 순매도세를 나타내면서 셀코리아에 대한 우려도 커졌다. 가장 큰 문제는 증시 폭락과 환율 가치 하락 등이 실물경제로 옮아 붙을 가능성이다. 주가 하락은 소비 심리를 더욱 위축시키고, 기업들의 투자를 가로막을 수 있다. 이러면 경제는 악순환의 수렁에 빠지게 된다. 정부는 그동안 우리 경제의 펀더멘털이 양호하다고 주장해 왔다. 하지만 실물 경기는 갈수록 악화하는 양상이다.

한국은행이 어제 발표한 3분기 경제성장률은 전 분기 대비 0.6%로 2분기 연속 0%대 성장에 그쳤다. 수출과 민간 소비는 다소 늘었지만, 건설투자는 20년 만에 최저를 기록했고, 설비투자도 여전히 저조한 실정이다. 국내 기업들의 3분기 실적이 증시에 미칠 영향도 걱정이다. 어제 현대자동차의 3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76.0% 감소한 2889억원으로, 2010년 이후 최저를 기록하자 주가도 8년 7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추락했다. 금융 당국은 대내외 요인에 따른 금융시장의 급변과 외국인 자금 이탈 동향을 예의주시하면서 실물 경제에 미칠 충격을 최소화하는 대비책을 마련하는 데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2018-10-26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