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정상이 양국 수교 50주년을 맞은 어제 미래를 향한 협력을 강조했다.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서울과 도쿄에서 열린 상대국 한·일 국교 정상화 50주년 기념 리셉션에 각각 참석해 양국 관계 개선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박 대통령은 일본대사관 주최로 열린 50주년 행사에서 “가장 큰 장애 요소인 과거사의 무거운 짐을 화해와 상생의 마음으로 내려놓고 양국이 새로운 미래를 함께 열어 나가자”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박 대통령은 ‘실타래처럼 꼬인 현안’의 존재를 인정하면서도 “새로운 협력과 공영의 미래로 향하는 전환점을 만들어야 하고 이는 후세에 대한 우리의 책무”라고 밝혔다.
아베 총리 역시 도쿄에서 열린 50주년 행사에서 “지난 50년간의 우호의 역사를 돌이켜 보고 앞으로 50년을 내다보며 함께 손잡고 새로운 시대를 만들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 아베 총리는 “일·한 양국이 많은 전략적 이익을 서로 공유하고 있는 만큼 동북아 정세를 감안해 양국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은 아·태 지역의 안정에도 더없이 소중하다”며 현재를 직시하면서 미래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국 수교 50주년을 맞았지만 최악의 관계임을 상징이나 하듯 양국 정상이 한자리에 모이지 못하고 상대국 행사에 교차 참석한 것은 ‘가깝고도 먼 이웃’이라는 현주소를 극명하게 보여 준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럼에도 두 정상이 상호 관계 개선에 대한 의지를 표명한 만큼 과거사 갈등으로 경색된 양국 관계가 풀리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는 평가가 많다. 한국 언론이나 정치권은 물론 일본의 언론들도 양국 정상이 국교 정상화 50주년 행사에 교차 참석한 것 자체에 모처럼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이를 계기로 한·일 관계의 새로운 돌파구를 열고 양국 정상회담으로 이어져야 한다며 기대감도 감추지 않았다. 최근 한·일 외교장관 회담을 통해 관계 개선의 걸림돌로 작용했던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일본 산업혁명 시설의 세계유산 등록 추진 문제 등에서 진척을 보이는 것도 좋은 징조다. 오는 8월 아베 총리가 내놓을 전후 70주년 담화가 여전히 변수로 작용하고 있지만 궁극적으로 정상회담 개최 등의 관계 개선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근본적으로 일본의 보수 우경화에 따른 역사 수정주의 시도와 중국의 급부상에 따른 동북아시아의 세력 구도 변화로, 한·일 관계가 급격하게 악화된 측면이 크다. 그럼에도 양국은 수교 50주년을 계기로 미래의 비전을 마련해야 하는 역사적 요구에 직면한 것도 사실이다. 한·일 양국의 협력에 따르는 국익의 증대와 동북아의 평화적 세력 전환의 필요성, 그리고 북한 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해 긴밀한 협조가 절실해졌다.
지금 시점에서는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가 직접 나서 어렵사리 만들어 낸 한·일 관계 개선의 동력을 보다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일본은 우리 국민들의 상처를 헤집는 퇴행적 자세에서 벗어나 ‘신뢰할 수 있는 이웃’으로 다가와야 한다. 우리 역시 과거사의 아픔을 딛고 자신감 있는 동북아의 주체로서 일본을 끌어안는 대승적 자세를 보일 필요가 있다.
아베 총리 역시 도쿄에서 열린 50주년 행사에서 “지난 50년간의 우호의 역사를 돌이켜 보고 앞으로 50년을 내다보며 함께 손잡고 새로운 시대를 만들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 아베 총리는 “일·한 양국이 많은 전략적 이익을 서로 공유하고 있는 만큼 동북아 정세를 감안해 양국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은 아·태 지역의 안정에도 더없이 소중하다”며 현재를 직시하면서 미래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국 수교 50주년을 맞았지만 최악의 관계임을 상징이나 하듯 양국 정상이 한자리에 모이지 못하고 상대국 행사에 교차 참석한 것은 ‘가깝고도 먼 이웃’이라는 현주소를 극명하게 보여 준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럼에도 두 정상이 상호 관계 개선에 대한 의지를 표명한 만큼 과거사 갈등으로 경색된 양국 관계가 풀리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는 평가가 많다. 한국 언론이나 정치권은 물론 일본의 언론들도 양국 정상이 국교 정상화 50주년 행사에 교차 참석한 것 자체에 모처럼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이를 계기로 한·일 관계의 새로운 돌파구를 열고 양국 정상회담으로 이어져야 한다며 기대감도 감추지 않았다. 최근 한·일 외교장관 회담을 통해 관계 개선의 걸림돌로 작용했던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일본 산업혁명 시설의 세계유산 등록 추진 문제 등에서 진척을 보이는 것도 좋은 징조다. 오는 8월 아베 총리가 내놓을 전후 70주년 담화가 여전히 변수로 작용하고 있지만 궁극적으로 정상회담 개최 등의 관계 개선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근본적으로 일본의 보수 우경화에 따른 역사 수정주의 시도와 중국의 급부상에 따른 동북아시아의 세력 구도 변화로, 한·일 관계가 급격하게 악화된 측면이 크다. 그럼에도 양국은 수교 50주년을 계기로 미래의 비전을 마련해야 하는 역사적 요구에 직면한 것도 사실이다. 한·일 양국의 협력에 따르는 국익의 증대와 동북아의 평화적 세력 전환의 필요성, 그리고 북한 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해 긴밀한 협조가 절실해졌다.
지금 시점에서는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가 직접 나서 어렵사리 만들어 낸 한·일 관계 개선의 동력을 보다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일본은 우리 국민들의 상처를 헤집는 퇴행적 자세에서 벗어나 ‘신뢰할 수 있는 이웃’으로 다가와야 한다. 우리 역시 과거사의 아픔을 딛고 자신감 있는 동북아의 주체로서 일본을 끌어안는 대승적 자세를 보일 필요가 있다.
2015-06-23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