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국경제에 경보 울린 중국발 삼성전자 쇼크

[사설] 한국경제에 경보 울린 중국발 삼성전자 쇼크

입력 2014-08-06 00:00
수정 2014-08-06 00: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1위를 구가하던 삼성전자가 설립된 지 4년밖에 안 된 중국 스마트폰 제조업체 ‘샤오미’(小米)에 중국시장 수위 자리를 내줬다. 우리 스마트폰 업계로서는 충격이 아닐 수 없다. 올해 삼성전자의 2분기 실적이 좋지는 않았지만 이름도 생소한 신생 기업에 중국시장을 맥없이 내줬다는 것은 예사롭게 와 닿지 않는다.

미국의 한 시장조사업체에 따르면, 샤오미는 올 2분기 중국 시장 점유율 14%를 기록하며 12%에 그친 삼성전자를 따돌리고 1위에 올랐다. 저가 틈새시장을 노렸고, 파급력이 빠른 온라인 판매를 80%로 높여 시장을 파고들었다. 판매량을 늘리기 위해 가격 거품을 빼는 전략이 주효한 것이다. 여기에다 고객맞춤형 운영체계(OS)를 제공한 뒤 수시로 업데이트하면서 고객 충성도를 높였다.

스마트폰 시장에서의 중국발 경고음은 수년 전부터 나왔다. 제조 기술력이 글로벌 업체의 턱밑에 바짝 다가섰다는 지적이 있었다. 레노버·화웨이 등 중국 업체의 성장세는 뚜렷했고, 자국의 세계 최대 소비시장을 지렛대 삼아 저가형 제품을 쏟아냈다. 올해는 세계 스마트폰 업체 10위 안에 6개나 들었다. 이들의 점유율을 합치면 30%에 육박한다.

반면 삼성전자의 올 2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에 비해 8.89%나 줄었다. 영업이익도 7조 1800억원으로 25% 감소했다. 32.6%였던 점유율도 올 2분기에 25.2%로 떨어졌다. 프리미엄급 고가 스마트폰 시장이 최대 소비처인 중국에서 불어닥친 저가 스마트폰 공세에 밀렸다는 방증이다. 거점 판매 지역의 하나인 신흥 인도시장에서도 저가 폰을 공급하는 인도 업체에 밀려 1위 자리를 내주고 말았다.

중국 업체의 판매량 대부분이 자국 시장에 머물지만, 시장 점유율을 높인 이들이 중가 전략으로 바꿀 가능성은 충분하다. 삼성전자가 프리미엄 시장 전략을 고수할 것인지 면밀히 판단해야 할 이유다. IM(IT·모바일)분야가 삼성전자의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60%대이다. 자칫 실적 부진이 삼성전기, 삼성SDI 등 계열사에 연쇄 타격을 줄 수 있다. 그럴 경우 우리의 경제에 미칠 영향은 만만찮을 것이다. 삼성전자는 최근 비상경영에 들어가면서 스마트폰 시장 수성 전략과 함께 웨어러블, 헬스케어, 사물지능통신 등 스마트폰 이후 분야에 주력할 것임을 밝혔다. 샤오미를 앞세운 중국의 스마트폰 시장 공세는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이는 만큼 빠른 시일 내에 전략을 수립해 실행에 옮겨야 할 것이다.
2014-08-06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