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南 개인정보 통째로 北에 유출된 사이버 현실

[사설] 南 개인정보 통째로 北에 유출된 사이버 현실

입력 2013-04-09 00:00
수정 2013-04-09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우리나라 사업자들이 중국에서 활동 중인 북한 해커에게 디도스(DDos, 분산서비스 거부) 공격용 악성코드 파일과 해킹장비를 받아 사업을 하고 북한의 외화벌이까지 도운 사실이 드러났다. 검찰에 따르면 최모(28)씨 등 3명은 북한 해커에게서 받은 해킹 프로그램으로 선물거래(HTS)와 인터넷 게임, 도박사이트 등을 운영해 해커와 수익금을 나눠 가졌다는 것이다. 이들은 북한 해커가 ‘능라도정보센터’ 요원인 줄 알면서 거래를 했고, 이 과정에서 우리 국민의 개인정보 1억 4000만건이 북한에 넘겨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북한이 이를 이용해 사이버상에서 또 무슨 일을 저지를지를 생각하면 아찔하기만 하다.

북한은 지금 대남 군사적 위협과 동시에 사이버 테러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이런 시기에 사업자 몇 명이 돈에 눈이 멀어 국민의 정보를 북한에 넘겨 국가 안보까지 위태로운 지경으로 내몰고 있으니 통탄할 일이다. 최씨는 백화점·주유소·쇼핑몰 등을 해킹해 고객의 아이디와 비밀번호, 이메일 주소, 주민등록번호 등 개인정보를 확보했다고 한다. 1억 4000만건이면 웬만한 국민의 정보는 다 들어 있을 것 아닌가. 북한이 이를 도용해 우리 사회의 혼란을 야기시키고 인터넷 어느 구석에 악성 코드라도 심어 놓으면 사이버 대란은 불을 보듯 뻔할 것이다. 피의자를 관련법 위반으로 단순하게 처벌하고 넘어갈 사안이 아닌 것이다. 검찰은 철저히 수사해서 전모를 더 밝혀내야 한다.

북한은 이미 1990년대 초부터 해마다 1000명의 ‘사이버 전사’를 양성해 왔다. 당시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인터넷은 총이다. 남한 전산망을 손금 보듯이 파악하라”고 교시까지 내렸다.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도 최근 “용맹한 (사이버)전사만 있으면 어떤 제재도 뚫고 강성국가 건설도 문제없다”고 큰소리를 쳤다. 지난 몇 년 동안 북한의 소행으로 확인·추정되는 사이버 공격이 어디 한두 건인가. 이번 사건은 바로 그런 북한의 전사와 결탁해 사이버 공격 통로를 닦아준 꼴이다.

사이버 공간은 육·해·공·우주에 이어 제5의 전쟁터라고 한다. 국민이 힘을 합쳐 지켜야 할 또 다른 대한민국의 영토인 셈이다. 정보기술(IT) 강국인 대한민국의 국민답게 이제 개인들도 사이버 공간에 대한 경각심으로 무장해야 한다. 이는 총을 들고 우리의 땅과 바다, 하늘을 지켜내는 것 못지않게 중요한 안보 태세이기도 하다.

2013-04-09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