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주요 대학의 수시 모집 경쟁률이 사상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서울의 11개 대학은 32.86대1, 수도권 33개 대학은 33.28대1에 달했다. 유례 없는 수시전쟁은 교육당국이 ‘물 수능’ 방침을 고수하면서 일찌감치 예상됐던 일이다. 학생들에겐 과도한 기대감을 심어줌으로써 로또잡기식 수시 과열 현상을 빚게 했다. 대학들에는 수천억원의 전형료 장사를 시켜주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다. 영역별 만점 1%라는 대학수학능력시험 난이도를 계속 고집할 것인지 심사숙고해야 할 때다.
올해 수능 전체 지원자는 69만 3634명이다. 그런데 수시 지원자를 보면 서울 11개 대학이 62만 1647명, 수도권 33개 대학은 103만 7836명에 달한다. 중복 지원자를 감안하더라도 지나친 과열이다. 물론 미등록 충원 기간 설정도 이유에 들겠지만 교육당국의 ‘쉬운 수능’ 방침이 가장 근원적인 배경이다. 우리는 물 수능으로는 변별력 확보가 어렵고, 한두 문제 실수로 수험생을 나락에 빠뜨릴 수 있는 위험성을 여러 차례 경고해 왔다. 그럼에도 교육당국은 물 수능을 고집해 왔다. 교육당국은 학생들에게 대학 진학의 기회를 넓혀줄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현실적으로는 기대 거품만 키울 뿐이다. 게다가 주요 대학의 경우 수시 모집 지원자가 4만명, 5만명은 기본이고 8만명, 심지어 11만명을 넘는 곳도 있다. 이들 대학이 논술문제 등을 채점이나 제대로 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지난해 전국 181개 대학의 전형료 수입은 2295억원에 이른다. 올해는 얼마나 더 벌어들일지 계산조차 쉽지 않다. 이래저래 물 수능은 득보다 실이 많다.
입시 정책이 수험생들에게 기회를 보다 많이 제공하는 자체는 나쁠 건 없다. 그러나 과도한 기대 심리를 부추긴다면 곤란하다. 물 수능 방침은 시행착오도 겪고 해서 고민 끝에 결론 낸 게 아니라 급조된 것이다. 학생들을 실험대상으로 삼는 입시 정책, 백년대계를 수시로 바꾸는 입시 정책은 재고해야 한다.
올해 수능 전체 지원자는 69만 3634명이다. 그런데 수시 지원자를 보면 서울 11개 대학이 62만 1647명, 수도권 33개 대학은 103만 7836명에 달한다. 중복 지원자를 감안하더라도 지나친 과열이다. 물론 미등록 충원 기간 설정도 이유에 들겠지만 교육당국의 ‘쉬운 수능’ 방침이 가장 근원적인 배경이다. 우리는 물 수능으로는 변별력 확보가 어렵고, 한두 문제 실수로 수험생을 나락에 빠뜨릴 수 있는 위험성을 여러 차례 경고해 왔다. 그럼에도 교육당국은 물 수능을 고집해 왔다. 교육당국은 학생들에게 대학 진학의 기회를 넓혀줄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현실적으로는 기대 거품만 키울 뿐이다. 게다가 주요 대학의 경우 수시 모집 지원자가 4만명, 5만명은 기본이고 8만명, 심지어 11만명을 넘는 곳도 있다. 이들 대학이 논술문제 등을 채점이나 제대로 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지난해 전국 181개 대학의 전형료 수입은 2295억원에 이른다. 올해는 얼마나 더 벌어들일지 계산조차 쉽지 않다. 이래저래 물 수능은 득보다 실이 많다.
입시 정책이 수험생들에게 기회를 보다 많이 제공하는 자체는 나쁠 건 없다. 그러나 과도한 기대 심리를 부추긴다면 곤란하다. 물 수능 방침은 시행착오도 겪고 해서 고민 끝에 결론 낸 게 아니라 급조된 것이다. 학생들을 실험대상으로 삼는 입시 정책, 백년대계를 수시로 바꾸는 입시 정책은 재고해야 한다.
2011-09-19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