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45개 전문대가 4년제 대학처럼 ‘대학교’라는 명칭을 쓸 수 있게 됐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최근 고등교육법 시행령을 개정, 대학교 또는 대학이라는 명칭을 사용할 수 있는 대학 종류에 전문대를 추가해 입법예고했다. 4년제 대학과 비교해 명칭 탓에 본의 아닌 규제와 차별을 받고 있다는 인식이 강한 만큼 명칭의 자율화를 꾀하기 위해서라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이에 따라 전문대도 대학이라는 간판을 떼고 대학교 팻말을 달 수 있게 된 것이다. 무늬가 화려해졌다. 앞으로 4년제 대학 190개교까지 합치면 전문대나 대학이라는 간판을 내건 고등교육기관은 거의 찾아볼 수 없을 것 같다.
전문대의 교육 목적은 국가사회 발전에 필요한 전문직업인의 양성이다. 하지만 전문대는 학력 중시 및 학력 인플레 속에 변질을 되풀이했다. 4년제 대학의 하부기관, 4년제로 가는 징검다리라는 인식도 만만찮다. 지난해 신입생 충원율은 94%, 재학생 중퇴율은 8%가량에 달했다. 지방의 몇몇 전문대는 정원의 절반도 못 채웠다. 심각한 수준이다. 재정상황 역시 악화될 수밖에 없다. 더욱이 2015년부터 고교 졸업생 수의 대폭적인 감소에 따라 정원을 채우기도 벅찰 형편이다.
전문대는 위기에 놓여 있다. 그렇다고 외형 단장만으로는 극복할 수 없다. 1997년 전문대는 대학으로, 2009년 전문대 학장은 총장으로 바꿨다. 학생과 학부모들이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전문대는 시대의 변화에 맞춘 학과 신설 및 특성화, 지역사회와의 연계, 대학끼리의 통폐합 등 과감한 구조개혁을 단행해야 한다. 내실을 다지는 게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해법이다. 눈가리고 아웅 식으로는 안 된다. 영진전문, 인천공업전문, 경북전문 등이 전문대 명칭을 고수하는 이유도 따져봄 직하다. 교과부도 전문대의 퇴로를 마련하는 동시에 평생직업이 아닌 고등교육, 즉 대학정책 차원에서 접근해야 할 것이다.
2011-02-24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