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 우리말] 누누이와 솔직히/오명숙 어문부장

[똑똑 우리말] 누누이와 솔직히/오명숙 어문부장

오명숙 기자
입력 2021-10-20 20:18
수정 2021-10-21 03: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깨끗이 청소하라고 누누이 일렀건만 번번이 안 하니 솔직히 화가 난다.”

위 문장에는 부사 ‘깨끗이’, ‘누누이’, ‘번번이’, ‘솔직히’가 쓰였다. 한데 이 같은 부사어의 끝음절이 ‘-이’인지 ‘-히’인지 헷갈릴 때가 많다.

한글 맞춤법 제51항은 부사의 끝음절이 분명히 ‘이’로만 소리 나는 것은 ‘-이’로 적고, ‘히’로만 나거나 ‘이’나 ‘히’로 나는 것은 ‘-히’로 적는다고 돼 있다.

먼저 끝음절이 ‘이’ 소리만 나는 것으로는 ‘깨끗이, 느긋이, 따뜻이, 반듯이, 버젓이, 산뜻이, 가까이, 고이, 대수로이, 많이, 적이, 헛되이, 겹겹이, 번번이, 일일이, 틈틈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히’로만 나는 것에는 ‘극히, 급히, 딱히, 속히, 족히, 특히, 엄격히, 정확히’ 등이 있다.

‘이’ 또는 ‘히’로 나는 것은 ‘솔직히, 가만히, 나른히, 각별히, 소홀히, 쓸쓸히, 과감히, 꼼꼼히, 열심히, 능히, 당당히, 분명히, 상당히, 조용히, 도저히’ 등이다.

소리 구분이 힘들 경우 겹쳐 쓰인 명사 뒤(겹겹이, 곳곳이, 길길이, 나날이, 낱낱이, 다달이, 땀땀이, 몫몫이, 번번이, 샅샅이, 알알이 등)나 ‘ㅅ’ 받침 뒤(기웃이, 남짓이, 뜨뜻이, 버젓이, 빠듯이, 지긋이 등), ‘ㅂ’ 불규칙 용언의 어간 뒤(가벼이, 괴로이, 기꺼이, 너그러이, 부드러이, 새로이, 쉬이, 외로이, 즐거이), ‘-하다’가 붙지 않는 용언의 어간 뒤(같이, 굳이, 길이, 깊이, 높이, 많이, 실없이, 헛되이)에는 대체적으로 ‘-이’를 붙이면 된다.
2021-10-2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