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 돋보기] 손의 비밀/정길상 국립생태원 생태기반연구실장

[생태 돋보기] 손의 비밀/정길상 국립생태원 생태기반연구실장

입력 2016-11-28 22:48
수정 2016-11-29 00: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정길상 국립생태원 생태기반연구실장
정길상 국립생태원 생태기반연구실장
손은 한시도 쉴 틈이 없다. 정보기술(IT) 세대 이전에는 연필을 쥐고 깨알 같은 글씨를 쓰든가, 멍하니 창밖을 내다보면서도 연필을 돌렸다. IT 시대에 들어서는 자판을 두드리기 바쁘고 그 조그만 핸드폰 위를 바삐 돌아다니며 온 세상의 정보를 눈으로 뇌로 퍼 나른다.

인간의 손은 정말로 정교하다. 그렇다면 인간이 지구상에서 가장 뛰어난 손을 가졌을까. 꼭 그렇지는 않은가 보다. 해부학적으로 인간의 손은 인간과 침팬지 공통 조상의 손과 매우 흡사하다. 옛날 침팬지의 손은 인간의 손과 비슷했지만 계속 진화한 반면 고릴라와 인간은 옛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섭섭해하지는 말자. 인간은 두 발로 걷기 이전부터 똑똑한 두뇌로 손을 사용할 수 있었으니까.

인간 손의 진화에 중요했던 요소는 도구의 제작과 사용이었다. 우리 인간의 손에는 또 하나의 비밀이 있다. 바로 주먹을 꽉 쥘 수 있다는 것이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놀랍게도 손바닥으로 내리치든 주먹으로 치든 힘의 크기는 비슷하다. 다만 주먹을 쥐면 손가락이 다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주먹을 쥐면 유리한 것이 또 있다. 단위면적당 힘의 크기다. 힘을 작은 면적에 집중시켜 상대에게 더 큰 피해를 줄 수 있다. 인간은 다른 영장류에 비해 포악하다. 일단 우리 조상이 나무에서 내려와 두 발로 걸으면서 양손이 자유로워지고 싸움의 기술과 함께 성격도 진화하지 않았을까.

한 손으로 싸우는 것보다 양손으로 싸우는 것이 더 유리할 것이다. 축구 스타 손흥민도 양발을 쓸 수 있어 상대 수비수들이 막기 어렵다. 인간은 대부분 한 손을 다른 손보다 더 자유롭게 쓸 수 있다. 인간의 약 85%는 오른손잡이다. 왼손과 왼발은 심하게 말하면 균형을 맞추는 데 쓰는 정도다. 일본의 유명한 영장류학자인 데쓰로 마쓰자와 교수에 따르면 침팬지도 한 손을 다른 손보다 자주 쓴다고 한다. 인간만의 특징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유를 뇌의 역할에서 찾는 이들이 있다. 오른쪽 뇌는 몸의 왼쪽을 조정하며 왼쪽 뇌는 몸의 오른쪽을 조정한다. 그리고 오른쪽 뇌는 언어와 무언가를 감지하거나 급격한 반응을 하는 데 주로 쓰고, 왼쪽 뇌는 먹이를 잡거나 움직이거나 하는 일상적인 일을 맡는다. 따라서 오른손잡이가 훨씬 더 많다는 것이다.

참고로 알아 두자. 캥거루는 오른손잡이가 많고, 개·고양이·말 등은 암컷이 오른손잡이가 많고 수컷은 왼손잡이가 많다고 한다. 인간은 어떨까. 남자가 여자에 비해 왼손잡이가 많다고 알려져 있다. 심지어는 손발이 없는 물고기부터 두꺼비, 새조차도 오른쪽 눈에 보이는 먹이를 공격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주변의 동물들이 어느 손을 더 많이 쓰는지 한번 들여다보기 바란다.
2016-11-29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