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연순 출판인
문제가 되는 현안, 사건, 정책에 대한 날 선 비판들에 속 시원해진 경우도 더러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거친 표현에 눈살을 찌푸리기도 하고 일부러 피하기도 한다. 때로는 시간을 들여 생각해 보고 표현해야 하는 삶의 가치에 관한 생각들조차 즉각적으로 날것으로(나중에 후회할 수 있는) 쏟아내는 것을 보면서 현재를 지배하는 커뮤니케이션 방식과 속도, 그 손쉬움이 과연 유용한지 곰곰이 생각해 보게 된다.
그러다 보니 책이나 미술작품, 음악 등 어떤 생각이 고민을 거쳐 표현된 결과물이 실시간 날아오는 트윗과 페이스북의 정보보다 훨씬 관심이 간다. 특히 미술작품은 전시가 되는 그곳에 꼭 가서 봐야 하는 불편함이 작가의 사유의 과정으로 들어가는 것 같아서 전시회를 방문하려 노력한다.
예전에 왕의 총애를 받던 화가가 모함을 받은 상황에서 자신의 감정을 화폭에 담아 표현했다. 해명의 일환이지만, 억울하다는 개인적 감정을 뛰어넘어 남을 모함하게 만드는 질투와 시기, 불의 앞에서 주저하며 흔들리는 인간의 모습 등을 담아 왕에게 보여 주었다. 그 그림을 한참 ‘읽은’ 왕은 화가의 진심과 그 깊이를 알아보고는 주변의 모함을 믿지 않게 되었다고 한다.
시간을 들여 정제된 의견으로 표현할 수밖에 없었던 예전 커뮤니케이션의 제한된 방법 덕분일 수도 있지만, 지금도 여전히 그런 길을 택하고 있는 많은 이들에게 동의와 참여를 적극 표현하는 방법은 책을 사 보고, 전시회나 공연장을 찾는 것이라 생각한다.
특히 특정한 생각을 다양하고도 적절한 마티에르(질감)를 통해 오랜 기간 고민해 표현해 낸 작품과 그 작품을 세상에 내놓은 예술가들의 고민 흔적을 따라가는 것은 많은 이들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다. 부지런히 활동하는 예술가들이 더 많이 소개됐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가져 보는 이유다. 그래서 ‘공동체를 꿈꾸다-다른 방식의 O’전<서울신문 1월 20일자>, ‘옆 무한대, 다름을 바라보다-시장과 후미진 골목서 발견한 예술적 가치…전방위 예술가 최정화 3월 개인전’, ‘해맑은 심성 화폭에 담아 세상과 소통-자폐장애 딛고 첫 개인전 여는 청년화가 조신욱’과 같은 기사들을 보면 눈에 확 들어온다.
지금 이 순간을 들끓게 만드는 사회적 문제에 대한 비판과 문제의식을 펼치는 것도 중요하다. 이에 못지않게 섣불리 설익은 생각들을 쏟아내지 않고 한 박자 쉬어 가며 사회와 인간, 삶에 대해 표현하려는 작지만 다양한 움직임들을 놓치지 않고 소개해 줄 때 신문을 뒤적이게 된다. 문화면에 트렌드 분석과 연예가 소식이 가장 많이 등장하는 것은 이를 궁금해하는 독자들이 많아서이겠지만, 이 사이사이 서울신문에 실린 생소한 예술가들의 활동과 작품에 대한 기사를 보면서 얼마나 많은 작가들이 힘을 얻을까 생각해 본다. 앞으로도 구석구석 펼쳐지는 그 사유의 공간들과 그 공간을 만들어 내는 예술가들을 지면에서 많이 만날 수 있기를 바란다. 대신 그 공간에 삶과 사람에 대한 생각들을 다양하게 표현하는 노력들이 더욱 많아지도록 하는 것은 독자의 몫이다.
2015-02-0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