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옴부즈맨 칼럼] 글로벌 뉴스에 대한 갈증/전범수 한양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옴부즈맨 칼럼] 글로벌 뉴스에 대한 갈증/전범수 한양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입력 2014-12-30 17:52
수정 2014-12-30 19: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전범수 한양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전범수 한양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우리는 한국이라는 지리적 공간에 대부분 머무르고 있지만 인식의 범위와 영역, 삶의 방식 등은 점차 글로벌화돼 가고 있다. 그 사례들은 적지 않다. 다자 간 무역 및 양국 간 자유무역협정(FTA)이 일상화되고 있는 국제 통상 흐름은 우리의 일상 경제 소비에 영향을 끼친다. 국가 간 인력 교류도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국제결혼을 비롯해 이민자, 노동자, 관광객, 유학생들과 같이 다른 국가에서 경험하는 삶의 공간이 넓어지고 있다. 게다가 국가 간 인터넷이나 방송 등을 통한 정보와 콘텐츠 교류도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급증하고 있다.

국경을 초월해 국가 간 이루어지는 다양한 글로벌 네트워크들이 우리 일상생활에 적지 않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와 같이 자본, 인력, 지식, 커뮤니케이션, 문화 등 특정 국가에 특유한 가치와 자산이 교통 및 통신을 통해 다른 국가의 것들과 섞이고 새롭게 가치와 자산을 창출하는 일련의 과정이 바로 글로벌라이제이션이다. 그 특징 중 하나는 세계 모든 국가들이 서로 의존관계가 심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글로벌 경제 네트워크가 구축되면서 한 국가의 경제적 변화가 다른 국가에 미치는 영향의 범위가 커지고 있다. 1990년대 후반 우리가 경험했던 IMF 사태나 2000년대 후반 글로벌 금융 위기 역시 경제적 글로벌화에 따른 산물이다.

전 세계 국가들이 하나의 글로벌 체계로 편입되고 있는 듯하다. 글로벌 체계에 적응하고 생존하기 위해 우리는 교육이나 경제, 정치, 문화적 체계들을 글로벌 수준에 맞추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 신문들은 이러한 글로벌 흐름을 따라가기보다는 여전히 자국 뉴스 생산에만 집중하고 있다. 그만큼 우리 신문에서는 글로벌 뉴스 비중이 높지 않다.

기사 통합검색 시스템인 카인즈를 통해 최근 1년간 국내 일부 종합 일간지들의 국가별 제목 작성 건수를 대략 살펴보면 뉴스 보도 대부분 미국이나 중국, 일본 등 3국에 집중돼 있다. 서울신문도 이들 3국을 중심으로 국제 기사들이 많았다. 그러나 12월 한 달 동안 게재된 3국 대상 뉴스들을 대략적으로 살펴보면 기사 건수에 비해 이들 국가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을 심층적으로 이해할 만한 뉴스 보도들은 접하기 어려웠다.

중국의 경우 차이나 머니와 중국 내 정치 역학 정도를 다룬 뉴스가 주목할 만했다. 미국 관련 뉴스에서는 북한과의 사이버전쟁 가능성, 한·일 관계 개선이 미국 정책에 미치는 영향 정도가 볼만한 뉴스였다. 일본 관련 뉴스에서는 아베가 이끄는 자민당의 총선 승리 보도 등이 많았다. 우리에게 중요한 3국 뉴스 대부분 전문적이거나 심층적 분석에 기반을 둔 보도는 많지 않았다. 게다가 이들 국가를 제외한 나머지 국가들에 대한 심층 뉴스 보도는 크게 부족해 보였다.

최근 신문사 대부분이 경영 부담으로 해외 특파원 파견 규모를 줄이고 있다. 그마저도 한 특파원이 이질적인 여러 국가들을 다루도록 함으로써 해외 특파원의 전문성이나 심층성은 많이 부족해 보인다. 비용이 많이 든다면 해외 거주 교포나 유학생들을 활용한 통신원 제도를 활성화하거나 다른 뉴스 기관들과의 공동 뉴스 제작, 또는 글로벌 뉴스통신사와 언론사들의 뉴스를 국내에 잘 소개하는 것으로도 충분할 수 있다. 현재의 자국 뉴스 편중 및 우리 시각에서 살펴본 뉴스 보도만으로는 글로벌 네트워크 체계가 야기하는 거대한 변화를 제대로 이해하기 어렵다. 글로벌 심층 뉴스 비중을 늘려야 할 이유다.
2014-12-3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주 4.5일 근무 당신의 생각은?
2025 대선의 공식적인 선거운동이 시작된 가운데 일부 후보들이 공약으로 내건 주 4.5일 근무가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OECD 국가 중 우리나라의 근로시간이 지나치게 길기 때문에 근로시간을 조정하겠다는 것인데 경제계는 난색을 표하고 있다. 당신의 생각은?
주 4.5일 근무에 찬성한다.
주 4.5일 근무에 반대한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