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기원 연세대 생화학과 교수
우리 몸에서 항상성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조건이 필수적이다. 한 가지는, 생명체를 구성하는 기관 기관들이 긴밀하게 소통해서 같은 방향으로 조화롭게 움직여 가야 한다는 것이다. 또 다른 조건은, 하나의 변화에 대한 반응이 반대편의 극단으로 가지 말아야 한다. 그래서 항상성이라는 단어는 항상 나에게 일정 범위 내에서만 움직이는 시계추를 생각나게 한다. 외부 조건의 변화에 의한 몸의 반응이 어떤 범위 내에서 조절돼야 생명체는 평안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밖의 기온이 올라가면 우리 몸의 기관들은 서로 소통해 전체적인 몸의 온도를 낮추자고 결정하고 일관되게 몸의 온도를 낮추는 반응의 스위치를 켠다. 이렇게 하여 몸의 온도가 내려가기 시작하면 너무 내려가지 않도록 온도를 낮추는 스위치가 꺼지고 낮아진 몸의 온도가 전체적으로 일관되게 다시 몸의 온도를 올리는 반응의 스위치를 켜도록 돼 있다. 그래서 체온은 일정 온도 범위에서 조절된다. 그런데 밖의 온도가 올라가는 조건에서 몸의 기관들이 소통하지 않아 모두 다른 결정을 내려 몸의 온도를 올리거나 낮추는 스위치가 중구난방으로 켜진다고 생각해 보자. 또 한 번 켜진 스위치가 꺼지지 않는다면 어떻게 될까. 우리의 생존은 위험에 처하게 될 것이다.
이런 현상은 사회도 마찬가지인 것 같다. 항상성의 눈으로 요즘의 우리 사회를 보면 정말 아슬아슬하게 느껴진다. 서로 의견이 다를 때 소통과 타협이 부족해 모두 중구난방으로 자신의 스위치를 켜고 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 같다. 발전은 차치하고 그 사이 유기체인 우리 사회가 건강함을 잃고 위험에 처하게 될까 조마조마하다. 대다수 국민이 평안하다고 느끼는 것은 보수와 진보가 서로 소통해 그 중간쯤으로 사회가 균형을 맞출 수 있을 때가 아닐까. 어찌 보면 우리 사회는 항상 다수의 중간 목소리보다 양 극단의 목소리만 크게 들리기에 평안하지 않게 느껴지는 것 같다. 생체의 항상성 조절 기능을 따라 만들어진 실내 자동온도조절장치처럼 우리 사회도 시스템적으로 양 극단으로 가지 않고 일정 범위 내에서 의견을 조정하고 타협할 수 있는 시계추 같은 생체의 항상성 조절 능력이 필요하다고 느껴진다. 안정을 바란다고 가만히 있는 것이 아니라, 또 변화에 대응한다고 한 극단으로 가는 것이 아니라,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보수와 진보, 발전과 분배의 범위 그 어느 중간에서 균형을 찾아갈 수 있을 때 국민이 평안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2014-10-04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