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민석 국제부 기자
그러나 대부분의 소녀는 아직 집에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 해시태그가 세계인의 관심을 모았지만 정작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상에서 선전전을 펼치며 적들을 조롱하는 이 테러단체 지도자는 포스팅들을 보고 마음을 움직여 소녀들을 풀어 줄 리가 없다.
다른 문제들도 마찬가지다. 전 세계 SNS 이용자들이 스마트폰을 들고 또는 컴퓨터 앞에 앉아 죄 없는 팔레스타인 아기들에게 폭탄을 쏟아붓는 이스라엘을 비난한다고 해서, 혹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말레이시아항공 MH17편을 누가 격추시켰는지 진실을 밝혀내라고 아무리 촉구한다고 한들 문제는 조금도 나아지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트위터와 페이스북은 사회적 메시지들로 북적인다. SNS는 사이버공간에 인간사회의 ‘공감’을 그럴싸하게 구현해 놓고 그것을 에너지 삼아 돌아간다. 소녀 수백명이 괴한들의 무지막지한 손에 끌려가 생사를 모른다는 사실에, 왜 죽는지도 모른 채 숨이 멎어 가는 꼬마들의 사진에 이용자들은 잠시나마 안타까워한다. 사람들과 공감한다는 것을 확인하고 싶어 하는 이용자들은 포스팅을 멈추지 못한다.
며칠 전까지 희생자 가족과 함께 눈물을 흘리던 SNS는 어느새 어떤 시신이 누구의 것인지에 대한 의혹으로 가득 찼다. 자극적인 소재가 떠오르면 SNS는 쉽게 휘둘린다. 정보에 대한 반응을 공감이나 행동으로 착각한다. 특정 집단에 소속된 것처럼 보이려 일부러 반응하기도 한다. 그래서 이용자들은 종종 ‘슬프다’는 댓글을 달고 스마트폰을 내려놓자마자 시시덕거리거나 신나게 술잔을 부딪친다.
공감을 먹고 사는 SNS는 날로 발달하지만 이에 길들여진 우리의 진짜 공감 능력은 반대로 떨어져 간다. 상대방의 표정을 직접 볼 수 없는 상태에서의 의사소통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공감으로 착각된 반응은 모니터 안에서 떠돌다 사라진다. 반응을 지켜본 상대도 딱 그만큼만 반응한다. 해시태그운동이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이유다.
shiho@seoul.co.kr
2014-07-26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