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재성 언론인
기울어져 가는 왕조와 인연이 돼 운명하는 순간까지 이 나라를 위해 고군분투했던 그는 사업하는 부친을 따라 일본에 왔다가 1904년 3월 영국 데일리 크로니콜 특파원으로 한국에 첫발을 디뎠다. 첫 기사는 그해 4월 14일 ‘경운궁 화재’ 사건. ‘일제의 방화’라는 제목의 장문 기사였다. 그러나 이 기사가 회사의 친일 논조와 맞지 않아 곧바로 해임되는 바람에 그는 한반도에서 일어난 첫 필화사건의 주인공이 됐다.
배설은 곧바로 신채호, 양기탁, 박은식 등 우국 지식인들과 뜻을 모아 신문 창간에 착수해 1904년 7월 18일자로 창간호를 발행했다. 제호는 ‘대한매일신보’. 대한매일신보는 창간 후 1905년의 을사늑약 무효, 1906년 1월 30일 헤이그 만국평화회의에 고종황제의 대표 파견, 한국군대 해산과 군부대신 폐지 등을 대서특필했다. 뿐만 아니라 을사늑약에 옥쇄를 찍지 않았다는 내용의 고종황제 밀서를 영국 트리뷴지에 줘 크게 보도하는 등 동분서주하다가 과로와 일제의 방해 등 정신적 스트레스가 쌓여 분사했다.
1945년 8월, 마지막 조선총독 아베 노부유키는 총독부 고별연설을 했다. “우리는 패했지만 한국이 승리한 것은 아니다. 장담하건대 한국인이 제정신을 차리고 찬란하고 위대했던 옛 조선의 영광을 되찾으려면 100년이란 세월이 훨씬 더 걸릴 것이다. 한국은 결국 식민교육의 노예로 전락할 것이다. 그리고 아베는 다시 돌아올 것이다.” 아베는 1953년에 죽었다. 만약 그가 지금 살아있다면 뭐라고 할까. 70년이 지나도록 여전히 기득권을 이어가고 있는 친일세력과 식민지 근대화론을 보면서 아마도 그는 “봐라! 내가 뭐라고 했나” 라며 큰소리치지 않을까.
우리는 잊어서는 안 되는 너무 많은 것들을 잊고 있다. 배설 선생의 경우가 그렇다. 그의 임종을 지켜보던 한국인들은 “기념관을 건립하여 은혜를 갚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그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다. 그에게 약속했던 분들이 그 후 약속을 지킬 만한 정신적·물질적 여유를 갖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났기 때문이다.
대한매일신보의 산실이었던 서울 종로구 홍파동 2-1번지 배설 선생의 자택(대지 1837평)은 1943년 안모씨에게 소유권 이전등기를 거쳐 현재는 돈의문 1구역 도시환경 정비사업으로 지정된 상태다. 땅 주인이 1909년에 사망하고 그 부인이 영국으로 떠났는데 1943년에 어떻게 소유권 이전등기가 가능했는지, 해방과 6·25를 거치면서 등기부 망실과 그 회복과정에서 오류가 많았던 점을 감안하면 원상회복을 통한 기념관 건립 대지 확보는 방법이 있을 것 같다. 정부와 시 당국의 의지가 있고 이 땅의 시민정신만 살아있으면 민족의 은인이 살던 자택, 신문역사의 첫 장을 연 현장에 기념관 하나 짓는 것은 어렵지 않을 것이다.
2014-05-02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