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은 충북대 행정학과 교수
세상 사람들이 만장일치로 동의할 수 있는 보편적 가치들을 통해 우리에게 닥친 문제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과정을 통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고 확신한다. 인간의 존엄성 구현, 인간 생명에 대한 존중, 인간의 근본적 자유의 보장 등은 그 누구도 훼손해서는 안 되는 인류의 보편적 가치이자 이념이고 사상적 뿌리들이다.
더불어 이제 우리는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넘어서는 새로운 도전들을 맞이할 준비를 해야 한다. 인류보다 먼저 지구의 주인이었으며 인류와 함께 공존하고 있고 어쩌면 먼 미래에 인류보다 더 오래 지구에서 살아가야 할 생명체들과의 공존의식을 지니는 것이 필요하다.
인류의 조상인 호모 사피엔스가 지구에 등장한 것은 지금으로부터 20만~25만년 전에 불과하다. 지구의 역사 46억년과 비교해 보면 말이다. 오히려 바퀴벌레나 까치, 돼지가 인간보다 훨씬 오랫동안 지구의 원주민으로 살아왔다. 지구엔 인류의 탄생이 곧 위기의 시작이었으리라. 인간을 위한 개발과 발전은 지구의 원주민인 동물, 식물들엔 파괴와 착취의 다른 말이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인간 사회에서 사는 우리는 인간은 존엄하다고 말하지만 생물사회에서도 인간은 존엄한 존재로 인정받는가. 인간이 다른 생물보다 우수한 두뇌를 가졌다는 사실로부터 존엄함을 얻는다고 생각하는가. 아니다. 어쩌면 생물사회에서는 인간의 존엄성이란 지구의 다른 생물체는 인정하지 않는 인간끼리만 서로 중요하다고 우기는 자기우월감의 고상한 표현일 뿐이다. 인간의 존엄성은 뛰어난 지능을 지닌 동물이기 때문에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능력 없고, 지능이 떨어지고, 힘없는 다른 인간이나 동물을 배려해 주고 연민해 주는 동물에게 주어지는 가치이다. 그러므로 나와 관계없는 타인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가치, 타인의 존엄성을 지켜주기 위해 희생할 수 있는 존재이기 때문에 인간은 존엄하다고 나는 생각한다.
먼 훗날 우리 후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과 여건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현 세대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지속 가능한 개발의 지혜를 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겉으로는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우리 사회는 유독성 폐기물, 삼림, 토양, 물, 기후 변화, 생물학적 다양성의 상실, 유해한 외래종으로 인한 환경 문제들로 가득 차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하느냐는 우리들의 마음가짐과 태도에 달렸다.
기업이 환경을 훼손하고 그 환경에서 사는 사람의 생명과 건강을 해치면서까지 돈벌이를 한다고 비난하기는 쉽다. 하지만 비난만 해서는 기업이 변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기업으로 하여금 친환경 경영이 훨씬 비용이 적게 들며 이익이 된다는 것을 알려주고 환경운동에 적극적으로 동참할 수 있게 하는 것도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지켜나가는 의미 있는 자세일 것이다.
2013-11-1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