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리나라는 미증유의 전력 공급 대란을 경험하면서 정부는 물론 일반 시민들까지 앞으로 닥칠지 모를 또 다른 전력대란 때문에 전전긍긍하고 있다. 정부는 여러 대책을 추진하면서 급기야 첨두부하(하루의 전력 사용 상황에서 여러 부하가 겹치며 종합 수요가 커지는 시간의 부하) 시 사업장의 가동정지를 권고하고 이에 따른 사업 손실을 정부가 메워주는 전대미문의 초강수를 두기에 이르렀다.
이미지 확대
부경진 서울대 공대 객원·연구 교수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부경진 서울대 공대 객원·연구 교수
그렇다면 전력 공급의 대란을 초래한 원인과 이유는 무엇인가. 먼저 현저히 낮은 전력가격이다. 우리나라의 전력가격은 선진국들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일 뿐만 아니라 타 에너지원과 비교해도 상대적으로 낮게 책정되어 있다. 또 다른 원인은 장기 전력수요의 빗나간 예측으로 발전설비 도입이 적기에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대책이 필요하다. 첫째, 왜곡된 전력가격의 제 위치 찾기이다. 그러나 이는 단기대책으로 불가능하다. 일시에 전력가격을 인상하면 경제에 충격을 주기 때문에 단계적으로 인상할 수밖에 없다. 공급대책 또한 마찬가지이다. 발전설비의 적기 도입을 위해 장기적인 전력수요 예측의 확실성이 전제돼야 한다. 확실한 전력수요 예측이 기반이 되어야 적정한 수준의 기저 부분이 할당될 수 있다. 보통 기저부하는 석탄과 원자력발전이 담당하게 되고, 남은 수요인 첨두부하는 주로 가스화력이 담당한다. 그런데 문제는 가스화력이 경제성을 갖추려면 수십만 ㎾급 설비규모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필자는 향후 전력대란에 대비한 적정한 대안으로 첨두부하를 담당하는 신재생에너지를 적극 추천하고 싶다. 신재생에너지발전은 규모로 볼 때 수㎾부터 수십㎿급까지 건설할 수 있어 첨두부하 설비로 적격이다. 대규모 투자비 부담이 어느 정도 해소되고 공기가 짧은 것을 고려할 때 첨두부하가 필요한 시점에 신속히 건설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더불어 국산 및 지역의 자연에너지원이기 때문에 연료비가 들지 않고 유지보수비가 아주 낮으며, 자연에서 지속적으로 재충전·재활용이 가능한 에너지원이어서 공급 불안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청정에너지원으로 기후변화 대응에 유리하고, 주민 수용성이 높아 마을 주변이나 도시 가운데 중소규모의 발전설비 유치가 가능하다.
혹자는 신재생에너지발전 단가가 비싸고 공급 불안정 때문에 아직은 첨두부하에 대응한 주된 발전원으로 도입되기는 시기상조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들의 주장은 신재생에너지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데에 기초한 것이다. 경제성 문제의 경우, 대부분의 신재생에너지원은 2015~2020년 사이에 그리드 패리티(grid parity: 신재생에너지발전과 전통에너지발전의 단가가 같아지는 시점)에 도달하므로 남은 것은 에너지원과 발전기술 간 경쟁뿐이다. 또한, 안정적인 공급 문제도 향후 스마트그리드의 주요 구성요소인 전력저장장치(EES)의 보급 확대로 조만간 해결될 것으로 예상돼 계속되는 전력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돌파구는 바로 신재생에너지의 보급이라고 확신한다.
2013-08-05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