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보고 출동한 게 왜 잘못입니까. …주무기관이 우리도 아니고 협조기관일 뿐인데…. 잘 대처했는데 뭐가 문제입니까.”
이미지 확대
백민경 사회부 기자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백민경 사회부 기자
지식경제부, 한국전력 등 유관기관과의 사전 통보체계가 제대로 구축되지 않아 실시간 정보 공유는 물론 대응조차 늦어졌다는 서울신문의 쓴소리에 대한 경찰청 위기관리센터 고위 관계자의 항의 전화다. 단전 2시간이 지난 뒤 경찰이 마비된 교통현장으로 나간 것도 “그럼 얼마나 더 빨리 가야 하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하지만 센터 측은 한국전력 지역본부에서 정전 대란 당시 일부 경찰서에만 먼저 단전 통보를 한 사실도 몰랐던 터다. 대규모 정전 사태로 국가적 혼란을 겪고 나서도 사전·사후 모니터링을 통한 문제점 파악과 대책 방지가 요원하다고 할 수밖에 없다. 물론 1차적인 책임은 주무기관인 지경부 등이 져야겠지만 국민의 재산과 생명을 지키는 경찰 역시 이번 사태를 계기로 다시금 부족한 매뉴얼을 다듬고 시스템을 정비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지경부가 연락도 안 줬고 전화도 계속 먹통이었다.”는 해명이 납득하기 어려운 이유다. 매뉴얼에 따라 비상연락 체계를 갖추라는 것은 또다시 닥칠지 모를 비상사태에 대비하라는 언론으로서의 당연한 지적이다. 유관기관 담당자와 사전 통보체계를 갖춰 국민들의 불안과 두려움을 덜어줘야 한다는 선의의 비판인 것이다.
정전 대비 하달에만 1시간 20분이나 걸린 초동 대처도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재난 재해 등 비상 상황을 예상해서 미리 시뮬레이션을 해보고 시간이 얼마나 걸리는지, 단축시킬 방법은 없는지, 유관기관과 전화가 안 되면 어떤 연락망을 통해 정보를 얻을 수 있는지를 준비하는 것도 센터의 역할이다.
‘통보도 없었는데 그 정도면 빨랐다.’라는 주장은 무책임하다. 조현오 경찰청장이 직접 국정감사 자리에서 정전과 관련한 경찰의 지연 대응 등에 고개를 숙인 것과 달리 담당 업무 책임자가 조직의 안위만을 보고 “잘못한 게 없다.”고 말한다면 정말로 경찰청 위기관리센터는 ‘위기’다.
white@seoul.co.kr
2011-09-2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