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7월 1일 ‘SK이노베이션 파이낸셜 스토리 데이’에서 ‘카본에서 그린으로’ 전략에 대해 설명하는 김준 부회장. SK이노베이션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지난해 7월 1일 ‘SK이노베이션 파이낸셜 스토리 데이’에서 ‘카본에서 그린으로’ 전략에 대해 설명하는 김준 부회장. SK이노베이션 제공
SK이노베이션이 작년 한해 9281억원의 사회적 가치를 창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는 2020년보다 1조 1473억원 늘어난 성과로, 최근 3년 내 최고 수준이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사태와 유가 폭락 등에 따른 영업손실로 인해 ‘마이너스 2192억원’을 기록했다.
사회적 가치 창출 성과를 영역별로 보면 ‘경제간접 기여성과’는 전년 대비 129%(9631억원) 증가한 1조 7115억원을 기록했다. ‘환경성과’도 전년보다 11% 증가했으나 여전히 큰 폭의 마이너스(-9489억원)를 나타냈고, ‘사회성과’는 33% 증가한 1656억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지난해에는 배터리 사업 확장을 위한 신규채용 증가 등으로 경제간접 기여성과가 크게 높아졌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SK그룹은 이번 사회적 가치 창출 실적 공표부터 분류 체계를 경제간접 기여성과, 환경성과, 사회성과, 거버넌스로 재분류했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분류 체계와의 연계성을 강화해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이해 관계자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SK이노베이션의 사회적 가치 측정 산식과 성과 및 ESG 중장기 목표 등은 올해 7월 발간되는 2021년 ESG 리포트를 통해 공개될 예정이다.
김준 SK이노베이션 부회장은 “향후 친환경 에너지과 소재 기업로서 시장과 이해관계자들로부터 인정과 신뢰를 받을 수 있도록 ESG 경영을 더욱 가속화해 나갈 것”이라며 “SK이노베이션 내 모든 사업회사가 이를 핵심전략으로 실행해 사회적 가치를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기철 선임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