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리아의 경제학자 요제프 슘페터가 역설한 ‘창조적 파괴’는 21세기를 사는 우리 시대에 유효한 명제다. 100년 전 그는 “옛것을 버리고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창조적 파괴를 통해 경제가 진화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슘페터의 학설은 뒤늦게 빛을 발하는 모양새다. 저성장 기조 속 4차 산업혁명이라는 화두에 직면한 21세기 기업들은 변하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 없다. 생존을 위해 고유영역을 넘어 낡은 것을 파괴하고 새것을 창조해야 한다. 물론 변화가 반드시 성공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언제, 어떤 방식으로, 또 어떻게 혁신하느냐에 따라 기업의 운명이 갈린다. 그렇게 변화와 위기는 공존한다. 2017년 우리 기업들도 변화를 모색 중이다. 자동차부터 전자, 화학, 바이오, 에너지 기업까지 예외는 없다.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가상현실(VR) 등 과거에 일부 기업의 영약이라 선을 그었던 기술적 경계도 이젠 무의미하다. 기본적인 경영 마인드뿐 아니라 사회 공헌에 대한 관념까지도 변하는 모습이다. 서울신문은 글로벌 시장에서 변화와 혁신, 제3의 길을 모색하고 있는 우리 기업들의 노력들을 모아 봤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언제, 어떤 방식으로, 또 어떻게 혁신하느냐에 따라 기업의 운명이 갈린다. 그렇게 변화와 위기는 공존한다. 2017년 우리 기업들도 변화를 모색 중이다. 자동차부터 전자, 화학, 바이오, 에너지 기업까지 예외는 없다.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가상현실(VR) 등 과거에 일부 기업의 영약이라 선을 그었던 기술적 경계도 이젠 무의미하다. 기본적인 경영 마인드뿐 아니라 사회 공헌에 대한 관념까지도 변하는 모습이다. 서울신문은 글로벌 시장에서 변화와 혁신, 제3의 길을 모색하고 있는 우리 기업들의 노력들을 모아 봤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7-08-30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