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집 키우는 다음카카오…신생 벤처 M&A·투자 잇따라

몸집 키우는 다음카카오…신생 벤처 M&A·투자 잇따라

입력 2015-08-06 07:19
수정 2015-08-06 07: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벤처업계에도 긍정적…”실리콘밸리 생태계 조성”

최근들어 신생 벤처기업에 대한 인수합병(M&A)과 투자에 적극 나서고 있는 다음카카오의 ‘몸집 키우기’가 눈에 띈다.

빠르게 변화하는 모바일 시장에서 안정적인 생활 플랫폼으로 자리 잡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다양한 M&A를 시도하면서 자사 O2O(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연계) 사업과 관련한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벤처 생태계에 활력을 불어넣는다는 ‘윈윈’ 전략이다.

6일 업계에 따르면 다음카카오는 직접 또는 투자전문 자회사를 통해 유망 스타트업을 잇달아 인수하거나 공격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

올해 들어 인수한 업체만 8개, 투자한 곳은 16개에 달한다.

다음카카오는 올해 1월 유치원과 어린이집 스마트 알림장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즈노트’를 자회사로 편입한 뒤 마케팅과 개발, 서비스 노하우 등을 제공하며 영·유아 시장을 공략했다.

그 결과 서비스 가입 기관은 인수 전 1만4천곳에서 현재 2만5천여곳, 월간이용자수(MAU)는 30만명에서 50만명으로 성장했다.

다음카카오는 또 2월 지하철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을 인수한 데 이어 5월에는 내비게이션 ‘김기사’를 서비스하는 록앤롤의 지분 100%를 626억원에 사들였다.

지난해 10월 인수한 서울버스 앱, 올해 3월 선보인 카카오택시 앱과 함께 운송 분야의 핵심 서비스 기반을 다진 셈이다.

올해 5월에는 인도네시아의 인기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패스’의 자산을 인수, 글로벌 플랫폼으로 성장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다음카카오는 올해 1월 설립한 1천억 규모 투자전문회사인 케이벤처그룹을 통해서도 활발한 M&A를 벌였다.

5월에 처음 자회사로 편입한 중고 디지털기기 거래 업체 ‘셀잇’과 이달 초 인수한 자동차 외장수리 견적 업체 ‘카닥’은 개인 간 거래(C2C) 기반 서비스의 일종이다.

전자상거래 플랫폼이 모바일로 이동하면서 성장 가능성이 커지는 분야로, 다음카카오의 차기 신사업 방향을 유추해볼 수 있는 대목이다.

6월에 자회사로 편입한 사용자경험(UX) 디자인 전문기업인 ‘탱그램디자인연구소’의 경우는 올여름 출시 예정인 ‘스마트로프’라는 사물인터넷(IoT) 기기에 주목했다.

다음카카오 관계자는 “현재 제공하는 IoT 서비스가 없고 여러 고민이 필요한 부분이지만 관심을 두고 함께 논의해보려 한다”고 말했다.

다음카카오가 올해 초 계열사로 편입한 투자전문회사인 케이큐브벤처스 차원의 투자도 활발하다.

올해 들어 투자한 기업은 모바일 게임 개발사 ‘슈프림게임즈’, 교육시스템 업체 ‘비트루브’, 옴니채널 개인화 플랫폼 업체 ‘데이블’, 문학 콘텐츠 서비스 기업 ‘모네상스’, 미드코어 모바일 RPG 개발사 ‘파라노이드 조이’, O2O 홈케어 서비스 업체 ‘브랫빌리지’ 등 공개된 6곳을 포함해 총 16곳이다.

투자 규모는 공개된 액수만 따져도 최소 34억원이다.

다음카카오가 지난달 선보인 신규 서비스인 ‘고전5미닛’은 이렇게 투자한 업체와 만든 합작품이다. 다음카카오의 플랫폼과 모네상스의 기술력이 결합했다.

이 같은 다음카카오의 M&A 행보는 벤처 업계에 일단 긍정적이라는 평가가 많다.

다음카카오가 혁신적인 아이디어로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찾고 자극을 받는 동시에 스타트업은 기업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아 매각한 뒤 그 자금으로 또 다른 도전을 하는 상생 관계와 선순환 구조가 마련된다는 것이다.

다음카카오는 기업 인수 후에도 기존 경영진이 독립적으로 운영하도록 지원한다. 이는 케이벤처그룹이 설립 당시 “실리콘밸리와 같은 벤처 생태계를 국내에 만드는 데 주력하겠다”고 밝힌 것과 같은 맥락이다.

다음카카오 관계자는 “저희보다 잘하는, 참신한 아이디어를 가진 스타트업과 동등한 관계로 사업을 펼치면서 벤처 생태계에도 엑시트(exit) 기회를 창출하려 한다”며 “빠르게 변화하는 모바일 시장의 트렌드를 잘 따라가기 위한 전략으로, 당분간 이런 시도를 지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